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광의통화(M2)가 증가하는 등 1분기 통화정책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면서 실물경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10일 '중국 2024년 1분기 통화정책 이행 보고서(이하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통화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통화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M2는 전년 동월 대비 8.3% 늘어난 304조8000억 위안이다. 전월 8.7% 늘어난 것보다 소폭 감소했다. 여기서 주목한 부분은 협의통화(M1) 증가율이 낮다는 점이다. 통화정책 보고서에는 M1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3월 말 기준 M1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하는데 그쳤다. M1과 M2의 증가율 격차가 너무 크다. M1은 기업의 유동성 자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M1 증가율이 높지 않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자금을 쓰지 않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민은행은 3월 말 기준 신규 기업 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연 3.73%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2%포인트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금리를 낮춰 M1의 유동성을 더 늘릴 필요가 제기되는 이유다. 이 때문에 인민은행이 2분기 중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 대신 금 보유액은 18개월 연속 늘었다. 7일 중국 외환관리국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중국 외환보유액은 전월 대비 448억2600만 달러 감소한 3조2008억3100만 달러(한화 약 4356조원)다. 이는 3월 말(3조2456억5700만 달러)과 비교해 1.38% 감소한 것이다. 외환관리국은 4월 주요국의 거시경제지표, 통화정책 기대감 등의 요인으로 미국 달러지수가 상승하고, 글로벌 금융자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외환보유액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안정적으로 외환보유액을 유지하고 있다는 짧은 논평을 냈다. 실제 4월 미국 달러 대비 위안화 현물 환율은 7.2233에서 7.2416으로 0.25% 떨어졌다. 같은 기간 미국 달러지수는 1.7% 넘게 상승했다. 또 자산 기준 미국 10년 만기 채권 수익률은 전월 대비 48bp 오른 연 4.68%(채권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떨어짐)를 기록했다. 환율과 자산 가격 변동을 감안, 중국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말 중국 외환보유액은 3조2380억 달러였다. 4개월 새 외환보유액이 372억 달러 준 셈이다. 미 달러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자동차(이하 신에너지차) 판매 가격이 인하되면서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신에너지차 판매 가격 하락은 차량 가액(자차보험료)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에너지차의 자동차보험료가 인하될 여지가 있는 셈이다. 하지만 손해율 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판매 가격 하락이 곧바로 자동차 보험료 인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6일 경제보와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BYD)를 시작으로 중국 신에너지차 업체들이 가격 인하를 단행하고 있다. 신모델의 가격을 낮추는 업체부터 한시적 가격 할인 정책 등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 가격을 인하하고 있다. 올해 들어 공식적인 할인 정책을 발표한 업체만 10여 곳에 이른다. 중국 신에너지차 업체들이 앞다퉈 할인정책을 펴면서 자동차 보험료가 인하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차량 가액이 떨어진 만큼 보험료가 인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손해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신에너지차 보험료는 내연기관 자동차보험료보다 월등히 높다. 지난해 기준 신에너지차 평균 보험료는 4020위안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같은 기간 내연기관 자동차보험료는 평균 2355위안이다. 2000위안
중국 주요 국유은행들이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다. 경기 부양 차원에서 더 많은 대출을 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데이터 전문 윈드(Wind)의 자료를 인용,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간 10개 상업은행이 총 2745억 위안(한화 50조7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고 5일 전했다. 이 가운데 금융채는 845억 위안이며 나머지 1900억 위안은 2차 자본채권이라고 부연했다. 자본채 발행 규모는 전체 채권 발행 중 69.2%라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는 농업은행 700억 위안, 중국은행 600억 위안, 건설은행 500억 위안, 헝펑은행 100억 위안 등 4개 은행이 자본채를 발행, 건전성을 확보했다. 건설은행(300억 위안), 상하이푸동개발은행(300억 위안), 난양은행(10억 위안) 등 4곳은 금융채를 발행했다. 또 핑안은행(150억 위안)과 베이부완은행(20억 위안), 쿤룬은행(5억 위안) 등 3곳은 중소기업 대출을 위한 특별 금융채를 발행, 실탄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핑안은행(50억 위안)과 푸뎬은행(10억 위안)은 농민 특별 금융채를 발행했다. 펑파이는 지난달 발행된 자본채 가운데 94.7%는 모두 국유은행에서 발행된 것이
지난해 중국 은행계 생명보험사 10곳 중 6곳이 이익을 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적자(2억5920만 위안)를 냈던 중인싼싱런서우(이하 중은삼성)도 4분기 흑자로 전환, 다행히 이익을 낸 생보사 명단에 이름 올렸다. 4일 중국 금융계와 펑파이 등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국 생명보험사 10곳 중 6곳이 이익을 냈다. 가장 큰 이익을 낸 곳은 자오상신눠런서우다. 이 보험사는 지난해 4억200만 위안(한화 약 745억원)의 이익을 기록했다. 이 보험사는 중국 자오상그룹과 미국 시그나(Cigna)가 합작한 생보사다. 그다음은 공인안성런서우와 눙인런서우가 각각 3억5600만 위안과 1억8400만 위안으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은삼성 8000만 위안(148억원), 쟈오인런서우 6600만 위안, 중허런서우 1200만 위안 등의 순이었다. 반면 중유런서우는 지난해 114억6800만 위안(한화 2조1249억원)의 큰 손실을 기록했다. 중유런서우는 중국 우정국(우체국)에서 운영하는 생보사다. 투자 손실과 이로 인한 충당금 적립 등으로 대규모 손실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젠신런서우와 중신바오청런서우, 광당융밍런서우도 각각 42억9900만 위안과 8억2700만
중국 매체들이 부동산담보대출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이라면서 아파트 등 부동산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난 20일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0.25%포인트 전격 인하한 바 있다. 시중 대출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1년 만기 LPR는 동결, 부동산 경기 부양을 위한 핀셋 통화정책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2일 펑파이와 중국경제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5년 만기 LPR 금리가 종전 연 4.2%에서 연 3.95%로 낮아지면서 중국 주요 도시의 첫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대로 떨어졌다. 5년 만기 LPR 0.25%포인트 인하는 지난 2019년 이후 최대 인하 폭이다. LPR가 크게 떨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에 근접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강조했다. 리위자 광둥성 도시계획연구소 주택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펑파이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LPR는 한 번에 25bp(0.25%p)를 인하한 것이라면서 기존 최대 인하 폭은 15bp였다"고 설명했다. 천원징 중국지수연구소 시장조사 국장은 "LPR 인하 이후 생애 첫 주택 구매자 및 2번째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75%까지 낮아질 수 있다"면서 일부 도시의 경우 이미 역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만 인하하는 '핀셋' 통화정책을 내놨다. 인민은행은 20일 자행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5년 만기 LPR가 연 3.9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인하 폭은 0.25%포인트다. 5년 만기 LPR는 지난해 6월 4.20%에서 4.10%로 0.10%포인트 인하한 후 8개월 만이다. 5년 만기 LPR는 부동산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잣대다. 반면 시중 대출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1년 만기 LPR는 종전과 같은 연 3.45%로 동결했다. 1년 만기 LPR는 지난해 9월 이후 6개월째 동결이다. ◆中 핀셋 통화 정책으로 부동산 경기 부양 인민은행은 지난 18일 1년 만기 중기대출창구(MLF) 금리를 2.5%로 동결했다. 통상 MLF가 동결되면 LPR는 동결되는 경향이 있다. 지난 2019년 8월 LPR 제도가 개편된 이후 MLF와 LPR가 동조 현상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그간 MLF와 LPR가 달리 움직인 것은 2021년 12월(1년 만기 LPR)과 2022년 5월(5년 만기 LPR) 단 2차례뿐이었다. 따라서 중국 내부에선 인민은행이 이달 LPR를 동결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 같은 전망과 달리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0일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 발표를 앞두고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시장에선 LPR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한편 일각에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에 맞춰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인민은행은 18일 1년 만기 중기대출창구(MLF) 금리를 2.5%로 동결했다. 이달 만기 도래하는 MLF 대출액은 4990억 위안이다. 이번 동결은 10억 위안의 신규 자금이 시장에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인민은행은 15개월 연속 MLF를 초과 공급하고 있다. MLF는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다. 인민은행은 MLF를 통해 시중 유동성 총량을 조절한다. 통상 MLF가 동결되면 LPR는 동결되는 경향이 있다. 지난 2019년 8월 LPR 제도가 개편된 이후 MLF와 LPR가 동조 현상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그간 MLF와 LPR가 달리 움직인 것은 2021년 12월(1년 만기 LPR)과 2022년 5월(5년 만기 LPR) 단 2차례뿐이었다. 현재로선 인민은행이 20일 LPR를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에선 LPR 인하를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경기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다음달 5일 지급준비율(RRR·지준율)을 인하한다.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는 24일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가진 언론 브리핑에서 다음달 5일 RRR를 0.5%포인트 낮춘다고 밝혔다. 판 총재는 이를 통해 1조 위안(한화 186조34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설명했다. RRR는 시중 은행권이 예금 인출 등을 감안,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비율을 말한다. RRR가 인하되면 시중 은행권의 대출 여력이 커진다. 통상 0.25%포인트 인하 시 5000억 위안의 자금이 시중에 풀리는 효과가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 22일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한 바 있다. 앞서 15일에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가 2.50%로 동결했다. 중국 내부에선 미국 기준금리와의 격차를 감안, 인민은행이 RRR 인하를 통해 시중에 자금을 공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중국 거시전문가들은 중앙정부의 추가 재정정책과 별개로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RRR) 추가 인하 등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더욱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가 유동성 공급을 통해 사회적 금융비용(대출금리)을 줄여 경제 회복을 견인해야 한다는 설명이다.<본지 1월
중국이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1년 만기 LPR를 연 3.45%로 결정했다. 1년 만기 LPR는 5개월째 동결이다. 인민은행은 또 5년 만기 LPR 금리도 종전과 같은 4.2%로 유지했다. 부동산 담보대출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5년 만기 LPR는 7개월째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지난 15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가 2.50%로 동결됨에 따라 LPR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MLF 금리는 중국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와 연동하는 하는 경향이 있다. 통상 MLF 금리가 인하되면 LPR도 비슷한 수준으로 인하된다. 인민은행은 시중에 동결하면서 시중에 9950억 위안(한화 183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했다. 인민은행의 이번 동결은 크게 3가지 이유로 해석된다. 우선 지난해 말 1조 위안 국채를 발행, 우선 5000억 위안을 시중에 공급, 시중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점과 나머지 5000억 위안이 조만간 추가 공급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지난해 말 중국 시중 은행권이 예금 금리를 인하, 은행권의 순이자마진 확보가 가능해진 점도 고려됐을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