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력반도체 1위 업체인 실란(Silan, 중국명 스란웨이, 士蘭微)이 전기차와 태양광용 반도체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3일 전했다. 실란은 탄화규소(SiC, 실리콘카바이드) 반도체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란은 2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전자제품 분야의 수요는 상당히 약하지만, 자동차 및 신에너지 분야는 강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전기차 및 태양광용 반도체를 기반으로 내년 풀캐파 생산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란은 현재 5인치, 6인치 웨이퍼 생산라인 가동율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8인치 라인은 풀생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12인치 라인의 경우 현재 월 1만5000장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생산능력인 2만5000장에 비해 상당히 적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내년 2분기면 풀캐파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실란 측은 예상했다. 회사 측은 자동차분야에서 메인 컨트롤러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제품을 제외한 거의 모든 필수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내년이면 신에너지자동차 소요 반도체 분야가 회사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알리바바가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메인컨트롤러 칩을 출시했다. 중국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에서 1일 열린 '2023 윈시대회(雲栖大會, 알리바바가 개최하는 글로벌 IT 대회)'에서 알리바바그룹 산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자회사인 핑터우거(平頭哥)반도체가 SSD 메인 컨트롤러 반도체인 '전웨(鎮岳)510'을 선보였다고 중국 동방재부망이 2일 전했다. 전웨510은 기업용 SSD를 위해 설계됐으며, 자체 개발 칩과 자체 개발한 아키텍쳐가 적용됐다. 이 칩에는 역시 핑터우거가 개발한 리스크파이브(RISC-V)기반 CPU 쉬안톄(玄鐵)R910이 내장돼 있다. 쉬안톄R910의 최대 주파수는 1.6GHz이며, DDR4와 DDR5를 지원한다. 전웨510은 4μs(백만분의 1초)의 초저지연 성능을 구현한다. 이는 업계 주류 대비 30% 이상 저감시킨 수준이다. 또한 오류율은 10의 18제곱분의 1로 업계 선두권 반도체에 비해 배 이상으로 낮췄다. 해당 반도체는 알리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우선 적용하게 되며, 인공지능(AI)과 모바일 페이, 빅데이터 분석 등의 업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전웨510은 고성능 분산 스토리지,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고성능 AI
중국의 대형 IT업체인 샤오미(小米)가 그룹내 두번째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를 설립했다. 중국 매체 퉁화순(同花順)재경은 현지 기업정보사이트 톈옌차(天眼査)를 인용, 베이징쉬안제(玄戒)기술유한공사가 지난달 26일 설립됐다고 1일 전했다. 베이징쉬안제의 자본금은 30억 위안(한화 5500억원)이며, 법정 대표는 쩡쉐중(曾學忠) 샤오미 그룹 부회장이 맡았다. 베이징쉬안제의 사업 범위는 반도체 설계, 서비스, 판매 등이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반도체를 설계할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샤오미는 2021년 12월 상하이쉬안제(玄戒)기술유한공사를 설립한 바 있다. 이 업체 역시 반도체 설계, 서비스, 판매를 사업 범위로 하고 있으며, 법정 대표 역시 쩡쉐중 부회장이다. 상하이쉬안제의 설립 당시 자본금은 15억위안(2770억원)이었으며, 지난 6월 4억2000만 위안을 증자했다. 베이징쉬안제와 상하이쉬안제 두 업체 모두 샤오미의 자회사인 바이언커지(拜恩科技)가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루웨이빙(盧偉冰) 샤오미그룹 회장은 지난 6월 "샤오미의 자체 반도체 투자 결심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며 "반도체 사업은 장기적이고 복잡하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
UNISOC(중국명 쯔광잔루이, 紫光展銳)가 개발한 스마트 워치용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W117'이 샤오미 워치 S3에 탑재됐다고 중국 IT 전문매체 IT즈자(之家)가 31일 전했다. 칭화유니그룹(쯔광지퇀, 紫光集團) 산하 기업인 UNISOC은 스마트폰 AP를 주로 개발하는 팹리스다. 'W117'은 앞서 아너(룽야오, 榮耀) 워치4에 탑재된 바 있다. 아너 워치4는 지난 13일 출시됐고, 샤오미 S3는 지난 29일 출시됐다. W117은 지난해 8월 출시된 비보 워치2에도 적용됐다. 중국에서 스마트워치를 판매하는 기업 중에 자체 제작한 반도체를 사용하는 화웨이(華為)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기업이 UNISOC의 칩을 사용하고 있다. 과거 중국은 스마트워치용 AP로 퀄컴 제품을 주로 사용했지만 이제는 이 분야에서 대부분 국산화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W117은 스마트워치 구동 반도체로 TSMC에서 22나노(nm) 반도체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4G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고품질 음성통화, 모바일페이, 인터넷음악청취, 음성비서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전력소모량을 낮춰 1회 충전으로 10일(최장 14일) 간 스마트워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샤오미 측
중국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바오터우(包頭)시가 네이멍구자치구 내 처음으로 반도체공장을 준공하고 생산에 돌입했다. 바오터우시는 또 다른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고 지역 매체인 바오터우신문이 30일 전했다. 바오터우시는 희토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시 재정이 튼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베이란신(貝藍芯)전자과기(이하 베이란신)가 바오터우시 강철야금개발구 금속심가공 산업단지에 29일 1공장 준공식을 진행했으며, 이날 생산에 들어갔다. 바오터우 시정부는 중국의 대형 반도체업체인 웨이얼(韋爾)홀딩스와 함께 공동으로 지난해 7월 베이란신을 설립했다. 설립과 동시에 반도체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공장은 5만㎡ 부지에 반도체 생산라인을 구축했으며, 설계, 클린룸, 후공정, 소프트웨어 연구개발(R&D) 센터까지 갖추고 있다. 주요 생산제품은 MCU(마이크로컽트롤러유닛)와 IGBT(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등이다. 연간 1억2000만개의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며, 연간 예상 매출액은 30억 위안이다. 베이란신은 시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화웨이, TCL, ZTE, 중국항공공업, 비야디 등 중국의 대기업들과 제휴를 맺고 있다. 회
중국 3위이자 세계 10위 파운드리(반도체 외주제작 업체)인 넥스칩(NexChip, 징허지청, 晶合集成)이 허페이(合肥) 3공장을 준공했다고 홍콩 매체 봉황망이 27일 전했다. 넥스칩은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와 화훙(華虹)반도체에 이은 중국내 3위 파운드리 업체다. 넥스칩은 2022년 동부하이텍을 밀어내고 매출액 기준 글로벌 10위 파운드리 업체로 등극한 바 있다. 넥스칩은 2015년 허페이 시정부 산하 정부 기금과 대만의 파운드리 업체 PSMC가 공동 투자해 설립한 파운드리다. 현재 허페이 시정부가 지분율 23.35%로 1대 주주이며, 2대 주주는 대만 PSMC(20.58%)다. 초기에는 허페이 시에 대규모 공장을 운영중인 BOE(징둥팡, 京東方)에 디스플레이용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를 주로 생산공급해 왔다. 넥스칩의 1공장과 2공장은 주로 CMOS 이미지칩과 OLED용 DDI 공정에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 등을 생산해왔다. 150nm(나노미터), 110nm, 90nm, 55nm 공정을 통해 1공장과 2공장은 매달 12인치 웨이퍼 12만장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에 더해 넥스칩은 안후이성에 가동중인 자동차 공장에 공급할 목적으로 차량용
중국의 차량용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인 신왕웨이(芯旺微)가 상하이거래소 커촹반(科創板) 기업공개(IPO)를 준비중이라고 중국 매체 관찰자망이 26일 전했다. 상장 목표 기업가치는 115억2700만 위안(한화 2조1000억원)이라고 관찰자망은 덧붙였다. 신왕웨이는 상하이거래소에 IPO신청서를 접수시켰으며, 최근 신청서가 거래소에 공개됐다. 신왕웨이는 기업공개를 통해 17억3000만 위안의 투자금을 모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차량용 MCU 연구개발 및 산업화, 차량용 SoC(시스템온칩) 연구개발 및 산업화, 시험인증센터건설 등에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발행주식은 6353만주로 상장 후 전체 지분은 15%이며, 상장 전 기업가치는 115억2700만 위안으로 산정됐다. 신왕웨이는 딩샤오빙(丁曉兵)과 딩딩(丁丁) 형제가 2012년 설립했으며, 형제는 현재 전체 지분 60.32%를 보유하고 있다 상장 후 예상 지분율은 51.27%다. 신왕웨이는 2021년 1월 A라운드 투자유치 당시에는 기업가치 6억5000만 위안을 산정받았다. 2021년 4월 B라운드 투자유치에서는 23억5000만 위안을 산정받았다. 이후 2022년 8월 C라운드
중국의 파운드리 업체인 SMEC(중신지청, 中芯集成)이 중국 자동차 업체들과 공동으로 탄화규소(SiC, 실리콘 카바이드) 전력반도체 업체를 설립했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25일 전했다. SMEC는 전날 저녁 거래소 공시를 통해 자회사인 신롄둥리(芯聯動力)를 설립 완료했고, 기업 등기 절차까지 마쳤다고 발표했다. 신롄둥리의 자본금은 5억 위안(한화 922억원)이다. SMEC는 신롄둥리의 지분 50%를 보유한다고 공시했다. 특히 주목받는 점은 신롄둥리가 화려한 진용의 주주들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 주주는 신롄둥리의 제품을 구매할 고객군이기도 하다. 자동차업체로는 상하이모터스와 샤오펑(小鵬)모터스가 주주로 참여했다. 양사 모두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전기차 핵심부품인 탄화규소 전력반도체를 필요로 하고 있다. 2차 전지업체인 CATL(닝더스다이, 寧德時代)도 주주로 참여했다. CATL이 펼치고 있는 ESS(에너지저장장치)가 갈수록 고전압 및 고전류로 발전하면서 탄화규소 전력반도체가 필요하다. 독일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보쉬도 투자에 참여했다. 보쉬는 중국에서 전기차 부품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기차 전력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애플의
예톈춘(葉甜春) 중국집적회로혁신연맹 사무총장이 FD-SOI 공정이 중국에 새로운 기회와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며 중국의 더욱 많은 업체들이 FD-SOI 생태계에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예 사무총장은 23일 중국 상하이에서 진행된 '제8회 상하이 FD-SOI 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고 중국 IT전문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24일 전했다. FD-SOI(완전공핍형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 공정은 실리콘 웨이퍼 위에 얇은 이산화규소(인슐레이터)를 부착시켜 전자가 얇은 층에서만 작동하도록 하는 공법이다. 전자소자의 이동이 빨라져 효율이 높으며, 전력 소비를 줄이는 장점도 있다. 또 주류 반도체 공정인 핀펫(FinFET) 공정에 비해 공정이 단순해 제조원가가 낮다는 이점도 있다. 삼성전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등이 핀펫공정과 FD-SOI 공정을 함께 채택하고 있다. 핀펫공정에 특화된 대만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중국에는 FD-SOI 공정을 개발하고 있는 업체가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이다. 현재 루이리핑신(銳立平芯)이라는 업체가 2022년 3월 설립돼 이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예톈춘은 이 회사의 회장이기도 하다. 예톈춘은 광둥(廣東)성 다완취(大灣區) 집접회로
상하이징처(精測)반도체기술유한공사(이하 상하이징처)가 최근 한 고객사와 반도체 계측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중국 퉁화순(同花順)재경이 23일 전했다. 상하이징처는 디스플레이 계측장비 업체인 징처뎬즈(精測電子)의 자회사다. 징처뎬즈는 22일 공시를 통해 상하이징처의 공급계약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 공급 계약 규모는 1억4300만 위안(한화 264억원)이다. 징처뎬즈는 공시에서 본 계약체결은 "상하이징처가 제조하는 반도체 계측장비에 대한 고객들의 높은 신뢰도를 반영한다"며 "회사의 시장경쟁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징처뎬즈는 10월 8일 공시를 통해 상하이징처가 올해 3월 5일부터 10월8일까지 여러 건의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합산 계약규모는 3억774만위안(569억원)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상하이징처의 올해 공급계약 규모는 한화 833억원다. 반도체 계측장비 분야는 미국의 KLA가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분야다. 현재 KLA의 첨단장비는 중국 수출이 금지된 상태다. 상하이징처는 2018년에 설립된 반도체 계측장비 전문업체다. 회사는 필름 두께 측정, 주요 크기 측정, 그래픽 웨이퍼 검출, 전자빔 검출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