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우려와 달리 지난해 당국의 성장률 목표를 달성했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 경제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게 서방 진영의 시각이지만 중국 내부에선 말그대로 '선방'했다는 분위기가 영력하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 중국 경제가 4.88%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16명의 경제 전문가들의 전망을 집계, 올해 중국 경제가 최저 4.5%에서 최대 5.0% 성장할 것이라고 18일 전했다. 2024년 연평균 중국 경제가 전년대비 4.88%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따라서 중국 정부가 오는 3월 예정된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2024년 경제 성장률 '5.0% 안팎'이라는 목표치를 설정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23년 중국 경제 발목잡은 부동산 지난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2023년 중국 국내총생산(GDP)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126조582억 위안(한화 2경2270조원)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2023년 중국 정부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수치다. 지난해 중국 경제를 이끈 것은 역시 소비다. 지난해 1차 산업은 전년 대비 4.1% 증가했고, 2차 산업은 4.7% 성장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반도체 장비 업체인 베이팡화촹(北方華創, NAURA)이 지난해 300억 위안(한화 약 5조4000억원) 규모의 신규 수주를 한 것으로 집계됐다. 베이팡화촹은 16일 실적 예고 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액 209.7억~231억 위안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중국 IT매체 EET차이나가 17일 전했다. 이는 전년대비 42.7%~57.2% 증가한 수치다. 또 순이익은 36.1억~41.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3.4%~76.3%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63.8~85.1억 위안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대비 36.5%~82% 증가한 수준이다. 전분기 대비로도 3.6%~38.1% 증가한 수치다. 4분기 순이익은 7.3억~12.7억 위안을 기록할 것이며 이는 전년대비 8.9%~89.9% 상상한 수치다. 특히 베이팡화촹은 공시에서 지난해 신규 수주액이 300억 위안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신규 수주물량 중 70%가 반도체 장비였다. 베이팡화촹은 “지난해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수주물량을 기록했다”며 “올해 중국 상위권 반도체 업체들의 장비구매가 앞당겨지고 있으며, 선진 제조 라인의 확장과 3D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적층수
중국 경제가 지난해 5.2% 성장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중국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연간 목표치는 '5.0% 안팎'이었다. 지난해 목표치는 달성했지만 올해 경제 상황이 녹녹치 않다는 점에서 올해 중국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지난해 GDP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126조582억 위안(한화 2경2270조원)이라고 발표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이 전년 대비 4.1% 증가한 8조9755억 위안을 기록했고, 2차 산업은 4.7% 늘어난 48조2589억 위안으로 잠점 집계됐다. 3차 산업은 68조8238억 위안으로 전년 보다 5.8% 증가했다. 지난해 분기별 GDP는 1분기가 4.5%였으며, 2분기 6.3%, 3분기 4.9%, 4분기 5.2%다. 전년 코로나19 봉쇄 정책이 강화된 탓에 하반기 기저효과가 사라졌다. 2023년 중국 경제를 견인한 것은 역시 소비다. 지난해 연간 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은 47조149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판매액 총액은 42조2881억 위안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 경제가 불안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소매 판매액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공룡 비야디(BYD)가 스마트 신에너지차 개발을 위해 1000억 위안(한화 19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17일 동방재부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는 전날 '저렴한 스마트 드라이빙 시대'라는 주제로 '2024 드림데이'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 BYD는 지능 분야에 1000억 위안을 투자, 신에너지차 지능 기술 개발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왕추안푸 BYD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BYD는 인텔리전스 분야 연구를 일찍 시작했다"면서 "우리(BYD) 연구 개발은 인텔리전스에 대한 사용자의 실제 요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능형 운전과 무인 운전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현재 무인 운전은 법률과 규정, 기술 측면에서 구현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BYD는 올해 라이다(LiDAR)를 탑재한 고급형 스마트 드라이빙 모델 10종 이상을 출시할 예정이다. 우선 20만 위안(3715만원) 이상 차량에는 지능형 운전 보조 시스템이 옵션으로 제공되며, 30만 위안(5573만원) 이상 차량에는 기본 옵션으로 장착, 판매할 계획이다. 왕 회장은 "스마트 운전의 인기를 가속화하고 더
대만 반도체 장비 제조사인 '징딩정밀과기(이하 징딩)'가 해킹을 당했다. 중국 IT 전문 매체 쉰즈쉰은 대만 경제일보를 인용,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징딩이 해킹을 당해 고객 정보 등 내부정보가 유출됐다고 17일 전했다. 징딩은 대만 훙하이(폭스콘)그룹 산하 반도체 프로세스 장비 및자동화 장비를 생산하는 업체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세계 1위인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등이 주요 고객사다. 해킹 당한 고객 정보량는 5TB(테라바이트) 정도 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커가 상장회사의 웹사이틀 직접 해킹한 것은 대만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해커는100만 달러를 요구하고 있으며,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5TB에 달하는 고객 정보를 온라인에 공개하겠다고 협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징딩 측은 회사 시스템이 해커의 공격을 받았고, 일부 정보가 유출된 것을 감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외부 전문가들과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백업 데이터를 통해 북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생산 업체들이 가격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 탄산리튬 등 배터리 주요 핵심 원료 가격이 급락하면서 배터리 가격 인하 여지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또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가 1100만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 가격 인하를 통해 매출을 늘리겠다는 전략으로도 해석된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36Kr'를 인용, 닝더스다이(CATL)이 배터리 가격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17일 전했다. 닝더스다이는 최근 급속 충전이 가능한 리튬인산철 배터리 공급을 늘리는 대신 가격을 올리지 않겠다는 뜻을 전기차 등 완성차 업체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야디(BYD) 산하 푸디뎬츠(전지)도 최근 구매 원가 절감 여지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내부 공지문을 발송했다. 내부 공지문에는 올해 가격을 통제할 수 있는 비생산성 부문을 제거, 효율을 높이자는 의미가 담겼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각 신에너지차 업체들의 판매 목표를 감안, 배터리 업체들이 배터리 가격 인하를 검토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가장 적극적인 배터리 업체는 중국 배터리 시장 2위인 펑차오에너지(SVOLT)다. 펑차오는 지난해 말 2024년 경영 목표로 '제조 비용 40% 절감, 구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지난해 4분기 8%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7분기 연속 하락을 마감했다. 특히 중국 샤오미가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힌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시장조사기관 카날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3억2000만대의 스마트폰이 판매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것이다. 업체별로는 지난해 신형 아이폰 15 시리즈를 출시한 애플이 시장점유율 24%로 1위를 차지했다. 시장점유율 17%를 차지한 삼성전자가 2위에 올랐다.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은 카날리스 자료를 인용, 지난해 4분기 중국 스마트폰 제조 업체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샤오미의 경우 지난해 4분기 13%로 확고한 3위 자리를 꿰찼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삼성전자와 샤오미의 점유율 격차는 4%포인트로 줄었다. 지난 2022년 4분기 기준 양사 간 격차는 9%포인트였다. 트랜션의 경우 시장점유율 9%를 기록, 사상 첫 4위에 올랐다. 트랜션은 신흥시장에서 약진,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상승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중국 업체 비보는 시장점유율 7%로 5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전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11억
중국 허난성(省)을 시작으로 올해 중국 지방정부의 지방채 발생이 본격화된다. 더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중국 경제에 활력을 넣기 위해 올해 지방채 및 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도 재정정책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올해 지방채 및 국채 발행 규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 9조 위안 내외의 지방채권이 발행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16일 중국 경제전문 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허난성 지방정부는 오는 17일 약 247억 위안(한화 4조6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한다. 랴오닝성 다롄시도 18일 11억 위안(2032억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중국 31개 성·시·자치구 중 올 1분기(1~3월) 중 지방채 발행 일정이 공개된 곳은 모두 28곳이며, 전체 발행 규모는 1조6000억 위안(296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선 경제 안정과 재정 지속 가능성을 감안, 올해 지방채 발행 규모가 9조 위안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발행된 채권은 인프라 건설 등 경기 부양과 기존 채권 상환에 사용될 전망이다. 제일재경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국무원의 부채 한도에 대해 승인하
리튬 가격이 급락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최대 리튬 회사인 간펑리튬이 호주 리튬 광산기업과 리튬 수입확대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간펑리튬과 호주 리튬 광산기업 필바라 미네랄스(Pilbara Minerals)가 기존 계약을 수정, 리튬 수출 및 수입 계약을 수정 체결했다고 16일 전했다. 이번 수정 계약으로 간펑리튬의 리튬 수입 물량은 종전 16만t에서 31만t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나게 된다고 펑파이는 설명했다. 이번 계약은 앞으로 3년간 유효하다고 펑파이는 덧붙였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은 지난해부터 가격이 급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백색 기름으로 불리는 탄산리튬 가격은 지난해 한때 t당 60만 위안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공급 과잉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지난해 말 t당 10만 위안이 붕괴, 최근 t당 9만6000 위안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본지 23년 12월 5일자 '탄산리튬 가격 10만 위안 붕괴' 참조>.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은 최근 한달 새 t당 각각 3만3000 위안 가량 떨어지는 등 여전히 하락 국면이다. 간펑리튬 측은 리튬 가격 하락 국면에서 수입 확대 계약을 체결한 것과 관련해 "시장 가격과 관계없이 리튬을
중국 최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제조업체인 닝더스다이(CATL)가 수도 베이징에 14번째 배터리 공장 건설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베이징일보를 인용, 닝더스다이가 베이징공장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16일 보도했다. 펑파이는 관련 내용을 닝더스다이 측에 확인 요청을 했으나 회사 측은 확인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펑파이는 그러면서 닝더스다이가 리샹 자동차과 샤오미 자동차에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은 현재 신에너지차 산업 관련 기업이 300여 곳 있는 곳이며, 리샹과 샤오미 등 신에너지차 업체들이 둥지를 틀고 있는 곳이다. 리샹과 샤오미 모두 닝더스다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업체다. 펑파이는 오는 3월 출시 예정인 리샹의 첫 MPV(다목적차량) 순수전기차인 '메가(MEGA)'에 닝더스다이 배터리가 들어간다고 전했다. 리샹은 베이징공장에서 연간 1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또 샤오미의 첫 전기차인 'SU7'에도 닝더스다이 배터리가 탑재된다. 펑파이는 베이징자동차그룹(BAIC)과 베이징벤츠, 베이징현대 등 기존 내연기관차를 생산하는 기업들이 베이징에 있지만 신에너지차 생산기업이 대세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