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위 친환경자동차 업체인 비야디(BYD)의 매출이 미국 테슬라를 추월했다. BYD 매출이 테슬라를 앞지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5일 펑파이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BYD는 전날 지난해 매출이 7770억 위안(1069억 달러)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29.02%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402억5400만 위안이라고 BYD는 밝혔다. 중국 매체들이 주목한 부분은 같은 기간 테슬라 매출이다. 테슬라는 지난해 모두 976억 9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BYD 자동차 및 관련 사업 매출은 6173억82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7.7% 증가했다. 자동차 및 관련 사업 매출 총이익률은 22.31%로 전년 대비 1.2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BYD 신에너지차 총 판매량은 전년 대비 무려 41.26% 늘어난 427만2100대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승용차 판매량은 425만400대로 전년 301만2900대 대비 41.07% 증가했다. 지난해 BYD 수출 판매 대수는 전년대비 71% 증가한 40만7700대였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지난해 BYD의 신에너지차 중국 시장 점유율이 33.2%로 추정하고 있다. BYD
중국의 실수, 샤오미가 역대 최대 매출과 순이익을 신고했다. 특히 지난해 첫 선을 보인 전기자동차 사업이 올해 본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밝혀 샤오미 전기차 사업이 순항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일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 등에 따르면 샤오미는 지난해 사상 최대인 3569억 위안(한화 약 71조62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35% 늘어난 것이다. 또 지난해 샤오미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41.3% 증가한 272억 위안이며 영업이익도 22.5% 늘어난 245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샤오미는 지난해 매출과 순이익 모두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루웨이빙 샤오미 사장은 전날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샤오미는 인공지능(AI)와 OS, 칩에 집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총 연구개발(R&D) 비용의 25%인 70~80억 위안을 AI에 투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I 기술을 활용, 내부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샤오미의 AI 투자 강화는 전동화와 관련이 짙어 보인다. 또 이날 컨퍼런스콜의 최대 관심사는 샤오미 자동차 사업부문이었다. 샤오미는 지난해 전기차 등 자동차 사업 부문의 총 수익이 328억 위안이며, 이중 스마트 전기차 수입은
중국이 경기 부양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보조금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 왕원타오(王文濤) 중국 국무원 상무부장(장관)이 6일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경제 부문 기자회견에서 참석해 올해 전국 자동차 폐차 및 갱신 보조금 신청이 31만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이어 자동차 교체 및 갱신 보조금 신청은 70만건을 초과, 총 100만건을 초과했다고 전했다. 앞서 중국 상무부 등 8개 부처는 지난 1월 '차량 보상 판매와 관련된 작업을 개선하기 위한 상무부 및 기타 7개 부서의 통지'를 통해 2025년 노후차 폐차 후 신에너지차 구매시 최대 2만 위안(한화 약 397만원)의 보조금을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중국 매체 차이롄서는 보조금 정책이 자동차 소비를 자극, 시장에 활력을 넣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당국의 보조금 정책으로 중국 자동차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중국 승용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신에너지차는 72만대가 판매(소매기준), 전년 동월 대비 85% 급증했다.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146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다. 중국 당국은 또 지난 1월 15일부터 가전제품에 대해 최대 최
지난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친환경차)의 가격이 평균 1만8000위안(한화 약 361만원) 인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에너지차 판매 경쟁이 심화되면서 업체들이 앞다퉈 가격은 낮춘 결과다. 이로 인해 중국 자동차 기업의 이익률도 크게 떨어졌다. 중국 매체 제일재경은 중국승용차협회(CPCA) 데이터를 인용, 지난해 가격이 인하된 차량 모델 수가 227개에 달했다고 5일 전했다. 신에너지차 평균 인하된 가격은 1만8000위안이며 인하율은 9.2%였다. 가솔린 등 일반 연료 자동차의 경우 인하된 평균 가격은 1만3000위안으로 인하율은 6.8%다. 가격이 떨어지면서 완성차 업체의 이익도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 자동차 산업의 이익은 462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 줄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이윤율은 4.3%로 여타 제조산업의 평균 이윤율 6%보다 낮았다고 제일재경은 분석했다. 중국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지난해 50%를 넘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쟁이 그만큼 치열하다는 의미다. 중국 내부에선 신에너지차 생산 업체들이 비용 절감을 통해 경쟁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일각에선 전기차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비용을 낮춰야 한다는 목소
비야디(BYD)가 중국 최대 드론 생산 업체인 다장(DJI)와 공동으로 개발한 차량 장착용 드론을 공개했다. 4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는 지난 2일 선전에서 차량 장착용 드론 시스템 '량위안'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왕촨푸 비야디 회장은 "자동차와 드론의 조합은 공상과학에서나 나올 이야기이지만 우리는 실제로 구현했다"면서 "비야디와 DJI의 협력은 단순히 자동차에 드론을 탑재하는 것 이상"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왕 회장은 "량위안은 움직이는 자동차에서 이륙 및 착륙, 그리고 지능형 비행이 가능하고 한 번의 클릭만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자동차와 드론의 통합은 1+1 이상의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움직이는 차량에서 드론이 이륙하고 또 착륙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차량 속도 25km/h에서 드론이 이착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차량과의 거리가 2Km 이내면 드론은 차량으로 자동 복귀한다. 뤄전화 DJI 회장은 "우리(DJI)와 비야디의 협력은 신에너지차의 기능을 더욱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드론의 적용 시나리오를 확대한다"면서 앞으로 BYD와 신에너지차량의 지능화에 대한
중국 샤오미가 하이엔드급 'SU7 울트라(Ultra)' 가격을 공개했다. 샤오미오토는 하이엔드급 전기차 SU7 울트라의 공식 가격을 52만9900위안(한화 약 1억원)으로 책정했다고 중국 매체 펑파이가 28일 전했다. SU7 울트라의 사전 판매가격은 당초 81만4900위안으로 알려졌지만 공식 판매를 앞두고 30만 위안 가까이 인하됐다. 샤오미는 당초 SU7 울트라의 경쟁 모델이 포르쉐라고 밝혀왔다. 레이쥔 샤오미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SU7 울트라의 성능은 포르쉐와 비슷하고 기술은 테슬라를 따라 잡았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또 럭셔리 측면에선 "SU7 울트라는 독일 벤츠와 BMW, 아우디와 맞먹는다"고 밝혔다. 판매 가격에 대해선 그는 "일부 사람들이 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말하는데 우리(샤오미)는 이 가격에 판매할 것"이라고 성능과 품질에 대해 재차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특히 국산(중국산) 브랜드가 전면적으로 부상하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면서 국산 브랜드와 샤오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샤오미 SU7 시리즈 가운데 SU7 울트라가 가장 고급 모델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SU7 울트라의 최대 출력은 1548마력(
화웨이가 중국 500대 기업(국유기업 제외) 10위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27일 중국 포브스로 불리는 후룬(胡潤)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종가 기준 중국 500대 기업의 총 가치는 56조 위안(한화 약 1경1232조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조6000억 위안 증가한 것이다. 후룬연구소는 지난해 반도체와 엔터테인먼트 관련 산업의 기업 가치가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상위 10위 기업 가운데는 TSMC가 6조9800억 위안(한화 1400조원)으로 다시 한번 1위에 올랐다. 텐세트가 3조4200억 위안으로 2위를 차지했고, 그 다음은 바이트댄스(1조6300억 위안), 알리바바(1조5400억 위안), CATL(1조1700억 위안), 핀둬둬(1조1400억 위안), 메이투안(9500억 위안), 핑안보험(9150억 위안), BYD(7930억 위안), 화웨이(6800억 위안) 등의 순이었다. 미국의 제재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화웨이가 지난해 다시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성(省)별로는 대만이 84개사로 광둥성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광둥성은 81개사로 2위, 베이징은 65개로 3위를 차지했다. 도시별로는 베이징 65개사로 1위를, 상
알리바바가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3800억 위안(한화 약 75조원)을 투자한다.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앞으로 3년간 클라우드와 AI 인프라 구축에 3800억 위안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다라고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이 24일 전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이 분야에 투자한 금액을 넘는 것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설명했다. 또 중국 민간 기업이 클라우드와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한 역대 최대 규모라고 중국 매체들은 강조했다. 중국 내 AI 산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투자 계획이 나왔다는 점을 중국 매체들은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민간기업이 중심으로 대대적인 투자가 단행된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 CEO는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AI 폭발적인 성장은 예상을 훨씬 뛰어 넘는다"면서 전체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클라우드와 AI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매체들은 알리바바 클아우드는 아시아 최고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이라며 이번 3800억 위안의 투자는 관련 산업의 신뢰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및 AI 투자는 예견됐었다.
전 세계 석유화학 업종의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중국 석유화학 산업도 총이익이 8% 이상 감소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24일 중국청년망과 시나파이낸스, 펑퍼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석유화학 산업의 총매출은 16조2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하지만 이익은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 석유화학 산업의 총이익은 전년 대비 8.8%나 감소한 7897억1000만 위안에 그쳤다. 수출입 총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9488억1000만 달러에 머물렀다. 이와 관련, 푸샹성 중국석유화학공업연합회 부회장은 지난해 기초화학, 특수화학, 합성 재료, 비료 등 전 분야에 걸쳐 이익이 전년에 비해 모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알칼리 관련 화학산업은 유례가 없는 적자가 발생했다고 석유화학 산업의 어려움을 부연했다. 지난해 중국 석유화학 산업 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수요 부족에 따른 제품 가격 하락과 동시에 비용과 관리 요인에서 비롯됐다고 푸 부회장은 덧붙였다. 석유화학 산업의 부진은 중국 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석유화학 산업의 전체의 문제다. 롯데케미칼 등 국내 석유화학 기업도 수요 부진에 따른 재정적 어려움에
화웨이가 지능형 자동차 생태계를 확장한다. 21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화웨이와 상하이차는 새로운 신에너지 스마트 자동차의 생산과 관리, 판매 등에서 전략적으로 협력한다는 협약을 체결했다. 화웨이와 상하이차의 이번 협력은 지능형 자동차 개발에 초첨을 두고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자는데 목적이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왕샤오추 상하이차 회장과 위청둥 화웨이 소비자부문 회장 겸 스마트카 비즈니스유닛(BU) 최고경영자가 참석, 이번 협약의 중요성을 직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양측이 공동 개발하는 지능형 자동차 브랜드 명은 '상제'로 알려지고 있다. 이 브랜드의 판매 가격은 15만~25만 위안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통상 중국에서 주로 판매되는 신에너지차 가격대가 10~20만 위안대인 점을 감안하면 대중적 지능형 신에너지차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상하이차는 화웨이의 자율주행 시스템 솔루션인 훙멍즈싱을 '상제' 브랜드에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앞서 치루이차(즈계)와 베이징차(샹계), 장화이차(쭌제), 싸이리쓰(원제) 등과 협력, 지능형 자동차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지난해 화웨이의 훙멍즈싱의 지능형 자동차 주행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