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혼다와 닛산자동차의 합병이 무산된 가운데 중국 국유기업인 창안자동차와 둥펑자동차가 합병을 추진한다. 창안차와 둥펑차의 합병은 중국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의 시작으로 해석된다. 일부 중국 매체들 사이에서 나온 창안차와 둥펑차의 합병 설에 대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두 회사의 합병을 언급, 두 회사의 합병이 기정사실로 받아드려지는 분위기다. 인민일보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통합의 물결을 경험하고 있다'라는 제목의 중국 경제망 기사를 인용, 보도했다. 창안차와 동풍차의 합병은 지난 9일부터 흘러나왔다. 이후 중국 여러 매체들이 창안차와 동풍차의 합병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중국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 신호탄을 언급했다. 지난해 동풍차의 신차 판매량은 248만대다. 창안차는 지난해 268만대를 판매했다. 두 회사의 합산 판매 대수는 516만대다. 이는 중국 1위 자동차 회사인 비야디(BYD)의 판매 실적을 뛰어넘는 숫자다. 지난해 BYD의 판매량은 427만대다. 글로벌 판매 순위 5위다.<본지 2월 6일자, 中 내수의 힘···BYD 글로벌 완성차 '톱5' 참조> 창안차와 동풍차가 합병에 성공할 경우 새로운 중국 자동차 그룹이 탄생하게 된다. 두
1월 중국 자동차 판매가 전월 대비 크게 감소했다. 또 전년 동월 대비로도 판매가 감소, 중국 자동차 시장이 냉각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이 내수 경기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12일 중국승용차협회(CPCA)가 발표한 1월 전국 승용차 시장 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1월 승용차 판매(소매)는 모두 179만4000대로 전월 대비 무려 31.9%나 줄었다. 또 1월 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1% 감소했다. 이와 관련 추이둥수 중국승용차협회(CPCA) 사무총장은 "지난해 말 판매 급증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1월 영업일수가 예년에 비해 4일 이상 짧고, 2월 춘제 수요가 지난해 12월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올해 중국 자동차 시장이 낮게 시작해 높게 끝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덧붙였다. 1월 신에너지차(친환경차) 판매는 모두 74만4000대로 전월 대비 8% 감소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10.5% 증가, 신에너지차 열풍은 이어갔다. 신차 판매 대비 신에너지차 비중(보급률)은 41.5%로 전년 동월 대비 9%포인트 상승했다. 1월 중국 자동차 판매 실적에서
중국 1위 신에너지차(친환경차) 부문 1위인 비야디(BYD)가 고급형 지능형 주행 시스템인 '톈선 즈 옌(신의 눈)'을 공개했다. 11일 커촹반(科创板)일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는 전날 왕촨푸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톈선 즈 옌'을 공식 출시했다. 톈선 즈 옌은 모두 3가지 버전으로 출시되면 차종에 따라 다른 버전이 적용된다고 BYD 측은 설명했다. 왕 회장은 앞으로 비야디의 21개 차종에 톈선 즈 옌을 장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만 위안급과 15만 위안급, 10만 위안급, 10만 위안 이하급으로 나눠 다른 버전의 톈선 즈 옌을 탑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왕 회장은 "2025년은 전국민 지능형 운전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2~3년 내에 지능형 주행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와 같은 필수 구성"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비야디의 이번 톈선 즈 옌 공식 출시와 관련 중국 내부에선 전동화 선두 주자인 비야디가 앞으로 지능형 자율 주행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며 특히 톈선 즈 옌은 중저가 지능형 자율 주행의 대중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톈선 즈 옌 공식 출시에서 가장 주목받은 부분은 비야디의 자체 차량 지능형 '쉬안지 아키텍처
중국 정보의 스마트폰 보조금 정책이 발표된 이후 보조금을 신청한 수가 2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상무부 등 중국 당국은 지난달 20일부터 최대 500위안(한화 약 10만원)의 스마트폰 구입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10일 제일재경과 펑파이신문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0시부터 2월 8일까지 2009만명이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디지털 제품 2541만개에 대한 구매 보조금을 신청했다. 중국 당국은 내수활성화 차원에서 지난달 15일 가전제품에 대해선 최대 2000위안(한화 약 40만원), 스마트폰 등 디지털 제품은 최대 500위안의 보조금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제품에 제공되는 보조금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위기다. 춘제 연휴가 포함된 기간이지만 조사기간 판매된 디지털 제품 수가 2541만개를 넘었다는 것이다. 제일재경은 이 기간 보조금 신청을 통해 판매된 디지털 제품의 총 판매액은 205억8000만 위안(한화 약 4조원, 유니온페이 결제 기준)에 달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보조금 정책이 소비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고 강조했다. 보조금 정책으로 가장 많은 판매율을 보인 가격대는 4000~6000위안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가 자동차에 접목된다. 7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리자동차는 자체 개발한 싱루이 대형 모델과 선두추쒀(深度求索·딥시크)의 R1모델을 통합했다. 지리차는 딥스크 R1 모델을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 학습을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완성차 업체가 차량에 딥시크를 적용하는 것은 지리차가 처음이다. 지리차 측은 학습이 끝나면 약 2000여개의 차량 내 인터네이스가 상호작용, 차량 제어는 물론 운전자와의 정확한 대화가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이를 통해 운전자는 지능형 상호 작용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여타 완성차 업체들도 오픈소스인 딥시크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허샤오펑 샤오펑 최고경영자(CEO)는 "딥시크는 극히 낮은 수준의 비용으로 오픈AI와 같은 성능을 구현했다"면서 AI는 자동차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전 세계 완성차 기업들은 전동화에 이어 지능형자동차(스마트카) 개발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는 점에서 저비용의 딥시크가 자율 주행과 같은 첨단 분야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뜻이다. 허 CEO는 "AI는 자동차의 전기화를
일본 도요타가 지난해 1080만대의 차량을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1위 신에너지자동차 기업인 비야디(BYD)는 5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6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도요타는 지난해 모두 1080만대를 판매, 글로벌 완성차 업체 1위에 올랐다.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연간 판매량이 1000만대를 넘은 것은 도요타가 유일하다. 2위는 폭스바겐그룹이 차지했다. 폭스바겐은 지난해 모두 903만대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3위는 723만대를 판매한 현대차·기아가, 4위는 650만~680만대를 판매한 스탤란티스가 각각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상위 10위 완성차 기업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곳은 BYD다. BYD의 지난해 판매량은 모두 427만대로 5위를 차지했다. BYD는 지난 2023년 302만대를 판매해 9위에 오를 바 있다. BYD는 10위권 안에 이름을 올린 지 불과 1년 만에 5위까지 올랐다. 무엇보다 지난해 BYD가 판매한 427만대의 차량은 모두 신에너지차(순수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라는 점도 주목한 만 하다. BYD는 신에너지차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 신에너지차만으로 글로벌 5위에 오른 것이다. BYD는 지난 2022년 3월 연
미국과 유럽에서 신차 판매가 급감한 테슬라가 중국에서 할인 행사를 실시한다. 6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테슬라 차이나는 이달 말까지 '모델3' 전 트림에 대해 자동차보험 보조금 8000위안(한화 약 159만원)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차량 구매시 5년 무이자 할부 혜택도 제공한다. 테슬라가 보험 보조금과 무이자 혜택을 동시에 부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매체들은 테슬라의 이번 할인 정책은 유럽 등에서 판매 부진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달 프랑스에서 테슬라 판매 대수는 1141대에 불과하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63% 급감한 것이다. 또 같은 기간 스웨덴과 노르웨이 역시 전년 대비 각각 44%와 38% 감소했다. 유럽 최대 자동차 시장인 독일의 경우 지난달 판매 대수가 1277대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21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월간 판매량이다. 테슬라 차이나가 지난해 판매한 전기차는 모두 91만6000여대다. 이 가운데 65만7000여대가 중국 시장에 판매됐다.<본지 1월 16일자 '中 토종브랜드 작년 점유율 60% 넘어설 듯' 참조> 중국 토종 브랜드인 샤오펑도 3~5년 무이자 정책을 내놨다. 일
중국 1위 신에너지차(친환경차) 업체인 비야디(BYD)가 1월에도 판매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리차는 월간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으며 치루이차는 6개월 연속 월간 20만대 판매 기록을 이어갔다. 중국 보조금 정책이 나오면서 신차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5일 IT즈자와 북경상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의 1월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59.5% 늘어난 32만7900대다.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9.2% 늘어난 30만538대로 집계됐다. 해외 수출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83.4% 급증한 6만6336대다. 지리차의 1월 한달간 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25% 늘어난 26만6737대로 집계됐다. 이는 월간 기준 가장 많은 판매량이다. 이 가운데 신에너지차는 12만1000대가 판매, 전년 동월대비 무려 84%나 급증했다. 치루이차 역시 1월 전년 동월대비 10.3% 늘어난 22만4323대를 판매했다. 이에 따라 치루이차는 6개월 연속 월간 판매 20만대를 돌파했다. 중국 신에너지차 스타트업도 1월 판매 실적이 크게 늘었다. 샤오펑은 1월 한달간 모두 3만350대의 신차를 인도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
중국 정부의 신에너지차(친환경차)에 대한 보조금 정책으로 승용차 판매량이 200만~250만대 늘어나는 효과를 이끌어 내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당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자동차에 대해 '이구환신(낡은 것을 새 것으로 바꾸는 것)' 정책을 유지하기로 함에 따라 신에너지차 등 자동차 판매를 견인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펑파이신문은 4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를 인용, 올해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대비 4.7% 늘어난 329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신에너지차 판매는 전년 대비 24% 가량 증가한 16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수출은 전년 대비 5.8% 가량 늘어난 620만대로 추정했다. 지난해 중국 승용차 판매량은 모두 2756만3000대로 전년 대비 5.8% 늘었다. 이와 관련 중국 내 자동차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지난해 하반기가 시작되면서 보조금 정책을 내놓으면서 승용차 특히 신에너지차 판매량을 견인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보조금 정책으로 추가로 200만~250만대의 차량이 더 판매됐다는 추정이다. 궁민 USB 중국 자동차산업 연구책임자는 "지난해와 달리 올해 보조금 정책은 1년 내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정
중국 정부의 최대 2000위안 노후가전 교체 보조금 정책이 나오면서 TV용 LCD(액정표시장치) 패널 가격이 오르고 있다. 상무부 등 중국 당국은 지난 20일부터 TV 등 노후가전을 교체할 경우 최대 2000위안(한화 약 40만원, 15% 범위 내)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31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들어 LCD TV 패널 가격이 크기에 따라 전월보다 1달러에서 4달러까지 상승했다. 제일재경은 뤄투(洛圖)테크놀로지 데이터를 인용, 지난 1월 전세계 LCD TV 패널 가격이 32~55인치는 1달러, 65~75인치는 2달러, 85인치는 4달러 상승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2월 LCD TV 패널 가격이 1월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며 1분기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매체는 특히 올해 75인치 LCD TV가 중국 컬러 TV 시장에 주력 제품으로 부상했다고 덧붙였다. LCD TV 패널 가격 상승은 원인은 크게 2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지난 1월 발생한 대만 지진이 꼽힌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대만 남부 타이난시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인 이노룩스의 고장 중 일부가 가동을 멈췄다. 이노룩스는 대만 폭스콘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