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재정부가 오는 14일 50년 만기 국채를 발행한다.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경기 부양을 위해 1조 위안(한화 약 190조원)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50년 만기 국채는 그 일환이다. 7일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재정부는 오는 14일 50년 만기 국채 350억 위안(한화 약 6조6150억원)을 발행한다. 중국에서 50년 만기 국채가 발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국채는 재정부 베이징증권거래소 정부 채권 발행 시스템을 통해 발행되며, 금리는 경쟁 입찰을 통해 결정된다. 50년 만기 국채의 이자 지급일은 2024년 6월 15일부터 계산, 반기마다 지급된다. 14일 발행되는 50년 만기 국채의 마지막 이자 지급일은 2074년 6월 15일이다. 50년 만기 국채는 처음 발행된다는 점에서 금리 수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발행된 30년 만기 국채(450억 위안)의 표면이율은 연 2.57%였다. 지난달 24일 발행된 20년 만기 국채의 표면이율은 2.49%였다. 따라서 50년 만기 금리는 30년 만기 국채보다 0.1%포인트 정도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각에선 50년 만기 국채는 영구채나 다름없어 30년 만기 국채 금리와
중국이 3개월 연속 미국 국채를 줄였다. 반면 일본과 영국은 미 국채 보유액을 늘렸다. 미국 국채 보유 2위 국가인 중국과 3위 영국과의 격차가 더욱 좁혀졌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국제자본흐름보고서(TIC)를 인용, 중국의 3월 미국 국채 보유액이 76억 달러 감소한 7674억 달러라고 16일 전했다. 그러면서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있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다만 지난 2월 227억 달러 감소에 비해 감소 폭이 크게 줄었다. 중국은 지난 2022년 4월 이후 미 국채 보유액을 1조 달러 미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이후 7개월 연속 미국 국채 보유액을 줄이면서 한때 보유액이 7000억 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 아니냐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전월 대비 124억 달러를 늘렸고, 12월에는 343억 달러나 늘렸다. 미국 국채 보유 3위국인 영국은 지난 3월 268억 달러를 늘렸다. 3월 말 기준 영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는 모두 7281억 달러다. 일본은 3월 미국 국채 보유액을 199억 달러 늘렸다. 일본의 미국 국채 보유액은 1조1878만 달러다.
중국 재정부가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1조 위안(한화 약 189억원) 규모의 초장기 국채 발행 일정을 발표했다. 중국 정부의 초장기 국채 발행 계획은 지난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당시 언급된 바 있다. 중국 시장의 관심은 재정정책에 이어 통화정책에 쏠리고 있다. 초장기 국채 발행은 이미 예고됐다는 점에서 추가 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재정부는 지난 13일 홈페이지를 통해 만기가 각각 20·30·50년인 2024 초장기 특별국채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만기별 금액은 20년 만기가 3000억 위안이며, 30년 만기와 50년 만기는 각각 6000억 위안과 1000억 위안이다. 초장기 국채 발행은 오는 17일 30년 만기 국채를 시작으로 11월15일 마무리된다. 50년 만기 초장기 국채는 6월과 8월, 10월 3차례 걸쳐 발행된다. 중국 정부가 50년 만기 국채를 발행하는 것은 지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초장기 국채 발행 배경 중국 내부에선 이번 중국 정부의 국채 발행은 경기를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원라이청 중국 중앙재경대 교수는 "초장기 국채 발행이 순차적으로 진행, 투자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회동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9일(현지시간) 허 부총리와 최 회장이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만나 경제 및 무역 협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보도했다. 허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올해 중국 경제가 좋은 출발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중국)은 새로운 발전 이념을 적용, 새로운 발전 방향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국제 일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 외자 유지 강도를 높이고 있다"며 한국 기업의 중국 투자 확대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 회장은 "SK그룹은 중국 경제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다"며 중국과의 투자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화답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허 부총리는 중국공산당 20기 중앙정치국 위원이자 국무원 부총리, 중앙재경경제위원회 판공실 주임을 맡고 있다.
올 1분기 중국 광둥성과 장쑤성의 국내총생산(GDP)가 각각 3조 위안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16개 성(省)의 성장률이 중국 평균을 넘어섰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1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는 전년 동기 대비 5.3% 성장했다. 중국 증권일보는 26일 31개 성(省)·시·자치구 가운데 29개 지방정부의 GDP가 공개됐으며, 이 가운데 지린성의 GDP가 전년 동기 대비 6.5%에 달한다고 전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지린성이 1위이며, 장쑤성과 충칭시가 각각 6.2%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둥성과 저장성, 쓰촨성, 후베이성, 베이징시는 모두 6%가 넘었다고 덧붙였다. 중국 지린성의 성장률이 높은 것은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동북부 지역이 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GDP 발표 당시 중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출발을 했다면서 올해 목표치 실현을 위한 비교적 좋은 기초를 닦았다고 평가한 바 있다. 류샹둥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부국장은 "1분기 다양한 지역의 경제 성장이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것이 수치로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장쑤성과 산둥성, 저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이 미국 보잉의 신용등급 강등과 관련해 미국의 '국력'이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평가절하했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24일(현지시간) 보잉의 신용등급을 'Baa2'에서 'Baa3'도 강등했다. Baa3 등급의 바로 아래는 정크(투자부적격) 단계다. 보잉의 신용등급이 투자부적격으로 떨어지면 신규 자금 모집이 불가능하고 채권이 도래하는 등 부도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중국 매체들은 보잉의 위기는 미국 제조업의 과잉 금융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지적했다. 보잉은 지난 1997년 경쟁사인 맥도넬더글러스를 인수합병했다. 신화통신은 보잉은 이후 자본시장을 만족시키기 위해 배당금 등 막대한 돈을 썼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항공산업의 선두주자인 보잉이 맥도널더글러스 인수 이후 자본시장에 끌려다녔다고 평가했다. 보잉이 연구개발(R&D)을 축소하고 직원 수를 줄이는 등 이익만 추구했다는 것이다. 또 대규모 아웃소싱을 통한 원가절감 등 수익성에만 집중했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2018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보인 737 맥스(MAX)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며 보잉의 기술력에 의문을 제기했다. 실제 항공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중국 통화당국이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2일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 1년물과 5년물 금리를 종전과 같은 연 3.45%와 연 3.95%로 각각 유지했다. 인민은행은 2개월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2월 5년물 LPR를 4.2%에서 3.95%로 0.2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5년물은 부동산담보대출 금리에 영향을 준다. 인민은행은 지난 15일 중기 유동성 지원창구(MLF) 금리를 2.50%로 동결한 바 있다. 인민은행은 1년물 MLF를 통해 자금 1000억 위안(한화 약 19조570억원)을 공급하면서 금리를 동결했다. 통상 MLF가 동결되면 LPR가 동결되는 경향이 있다. 중국 내부에선 MLF 동결됨에 따라 이달 LPR도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 16일 공개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중국 통화 당국의 통화정책에 다소 여유가 생겼다. 1분기 중국 GDP는 전년 대비 5.3%였다. GDP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인민은행이 사용할 수 있는 통화 정책 카드가 다양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인민은행은 지난달 29일 베이징에서 '2024년 1분기 정례 회
중국이 미국 국채를 또다시 줄였다. 반면 일본과 영국은 미 국채 보유액을 늘렸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국제자본흐름보고서(TIC)를 인용,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이 227억 달러 감소한 7750억 달러라고 18일 전했다. 중국은 지난 1월에도 미 국채를 줄인 바 있다. 중국은 지난 2022년 4월 이후 미 국채 보유액을 1조 달러 미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이후 7개월 연속 미 국채 보유액을 줄이면서 한때 보유액이 7000억 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 아니냐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전월 대비 124억 달러를 늘렸고, 12월에는 343억 달러나 늘렸다. 올해 들어선 다시 2개월 연속 미 국채를 줄이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의 중국 방문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옐런 장관은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중국을 방문했다. 옐런 장관은 지난해 7월에 이어 2년 연속 중국을 찾았다. 옐런 장관은 방중 기간 중국의 전기자동차 등 과도한 생산 확대가 세계 시장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그의 실제 방중 목적은 미 국채라는 지적이 나온다. 2월 기준 영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7008억 달러다. 중국이 계속 미 국채를 줄
중국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 내외'로 공표한 가운데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정책 기조에 변화가 생겼다. 인민은행은 지난달 29일 베이징에서 '2024년 1분기 정례 회의'를 열고 중국 경제 및 금융 상황을 진단했다. 중국 증권일보는 인민은행 1분기 정례 회의에서 일부 문구가 조정, 정책에 변화를 예고했다고 8일 전했다. 이 매체는 회의 내용 중 '통화정책 도구상자를 풍부하게 한다'라는 문구가 새롭게 등장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인민은행은 정례 회의 결과 문서에서 '통화정책의 이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인민은행은 시장 지향적 금리를 형성하고 통화 정책 도구를 강화, 중앙은행의 정책 금리 지도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예금 금리를 시장 지향적으로 조정하고 기업 자금 조달을 촉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증권일보는 회의에서 '경기조정'이라는 표현이 사라지고 '통화정책 도구 상자 풍부 사용'이라는 문구가 새롭게 등장했다는 점에서 추가 기준 금리 인하(대출우대금리·LPR)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급준비율(RRR) 추가 인하도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용할 수 있는 카드라고 설명했다
중국 제조산업의 바로미터인 제조업 구매관리지수(PMI)가 기준선(50)를 돌파했다. 제조업 PMI가 기준선 50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6개월 만이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3월 중국 제조업 PMI는 전월보다 1.7포인트 상승한 50.8를 나타냈다. 제조업 PMI는 지난해 9월 50.2를 정점으로 10월 49.5, 11월 49.4, 12월 49.0으로 매월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선 1~2월 49.2로 반등, 개선 조짐을 보였다.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는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중국 경제 반등 신호 중국 내부에선 중국 공기업이익이 증가한데 이어 제조업 PMI가 기준선을 돌파하자, 중국 경제가 회복세로 전환됐다는 긍정적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 PMI에 앞서 지난달 27일 공개된 1~2월 중국 공업기업이익이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 중국 전체 공업이익은 2022년에 비해 2.3% 감소, 중국 공업기업이 어려움을 겪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왕칭 둥팡진청(신용평가사) 수석 애널리스트는 중국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