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하지만 기준점 '50'보다 낮아 여전히 경기 수축 국면을 이어갔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 1월 중국 제조업 PMI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한 49.2로 집계됐다. 중국 제조업 PMI는 지난해 2월 52.6를 정점으로 5월(48.8)까지 수직 낙하했다. 이후 반등하며 지난해 9월(50.2) 기준점 50을 돌파했지만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는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1월 제조업 PMI는 기업 규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대기업의 경우 50.4를 기록, 경기 확장 국면을 이어갔다. 반면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48.9와 47.2로 여전히 경기 수축 국면을 이어갔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 의지가 중소기업까지 닿지 않았다. 국가통계국은 산업 측면에서 자동차와 철도, 선박, 의료, 항공우주 장비 등의 산업 생산 및 활동 지수는 56.0 이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해당 산업 및 기업은 경기를 낙관적으로 보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RRR·지준율) 인하를 밝힌 가운데 중국 광둥성(省) 정부가 567억8100만 위안(한화 10조6000억원) 규모의 지방채권을 발행한다. 지준율 인하는 시중에 자금을 공급,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중국 통화당국의 강한 의지 표명이다. 여기에 지방 정부가 지방채 발행에 나서면서 재정 및 통화 정책 효과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6일 중국 증권일보 등에 따르면 광둥성은 오는 28일 총 567억8100만 위안의 신규 특별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이번 채권은 광둥성이 올해 처음 발행하는 것이다. 올 1분기 중 계획된 지방채권 규모는 모두 1조7500억 위안(363조원)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중 신규 채권은 1조400억 위안이며, 6726억 위안은 재융자채권(차환)이다. 나머지 1419억 위안(26조4500억원)은 숨겨진 부실채권으로 추정된다. 판뤄잉 중국은행연구원 연구원은 "1조 위안(186조4000억원) 규모의 국채 가운데 5000억 위안이 지난해 4분기 발행됐고, 올 1분기 나머지 5000억 위안이 발행 중"이라면서 "올 1분기 중국 인프라 프로젝트 활성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본 게이단렌(경단련) 등 일본 경제계 인사 180여 명이 중국을 방문했다. 일본 경제계가 중국을 찾은 것은 4년 4개월 만이다.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아직 크지만 국내총생산(GDP) 등 거시경제 지표상으로는 회복 단계를 밟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시점에 일본 경제계의 중국 방문은 의미가 적지 않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25일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신도 고세이 중·일경제협회 회장(일본제철 회장)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 고바야시 켄 일본 상공회의소 회장 등으로 구성된 일본 경제 대표단이 지난 23일 중국에 도착, 중국 경제계 인사들과 교류를 하고 있다. 제일재경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중일 경제계 교류가 중단됐고, 지난해에는 일본의 '오염물질 해양 방류' 문제로 양측이 만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제일재경은 기사에 '핵'이나 '방사능'과 같은 민감한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런훙빈 중국국제무역촉진회 회장은 일본 경제계 인사 방중과 "중국과 일본은 중요한 무역 파트너로서 중일이 상호 발전을 위해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라고 일본 경제계의 중국 방문을 환영했다. 제일재경은 중일 경제계 양측이 지난 24일 탄소중립과 산업 역량 강
지난해 중국 장쑤성(省) 국내총생산(GDP)이 12조8200억 위안으로 잠정 집계됐다. 12조8200억 위안은 우리 돈으로 2394조3914억 원이며, 미화로 환산하면 1조7868억5925만 달러다. 장쑤성 인민대표대회는 23일 정부 업무 보고를 갖는 자리에서 지난해 장쑤성 GDP는 전년 대비 5.8% 늘어난 12조8200억 위안이라고 밝혔다. 한국 GDP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장쑤성이 우리나라 GDP를 추월했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한국 GDP를 넘어선 중국 성은 광둥성이 유일했다. 광둥성은 지난 2021년 처음으로 한국 GDP를 추월했고, 2022년에도 한국을 앞선 바 있다. 지난 2022년 장쑤성 GDP는 2조2875위안으로 한국을 턱밑까지 따라 왔었다. 이에 따라 중국 31개 성(省)·시·자치구 가운데 한국 GDP를 추월한 곳은 2곳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해 장쑤성 경제 성장률은 5.8%로 중국 전체 성장률 5.2%를 뛰어넘었다.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은 지난해 장쑤성 제조업 부가가치가 4조6600억 위안으로 지역 GDP의 36.3%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또 전략 신흥 산업과 첨단 기술 산업의 생산 가치 비율이 각각 41.3%와 49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목표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31개 성(省)·시·자치구 지방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이번 주 대거 개막했다. 중국 중앙 정부는 지방 양회로부터 받는 올해 경제 관련 계획을 토대로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지방 양회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지난 20일부터 베이징과 충칭, 허베이, 쓰촨, 장시, 안후이, 광시, 산시, 장쑤, 랴오닝, 상하이 등 주요 지방 정부가 양회를 개최, 올해 경제 계획 및 성장률 목표를 공개하고 있다고 23일 전했다. 중국 지방 정부는 매년 1월 중 지방 양회를 개최, 그해 경제 계획 및 목표를 결정한다. 각 지역 양회를 통해 각 지방 정부가 올해 경제 계획과 목표를 어떻게 세울 것인지가 연초 중국 내부의 최대 관심사라면서 그 결과로 올해 중국 경제 상황을 가늠할 수 있다고 제일재경은 설명했다. 제일재경은 전날 열린 쓰촨성 양회에서 올해 지역내총생산(GRDP) 목표를 '약 6%' 성장을 목표로 세웠다. 이는 지난해 쓰촨성 성장률 6%와 비슷한 수치다. 제일재경은 앞서 지방 양회를 개최한 베이징시와 충칭시, 허베이성이 올해 성장률
중국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나왔다. 23일 신경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는 지난 19일 '제16기 인민대표대회 제2차 회의'를 열고 2024년 지역내총생산(GRDP) 목표를 '5% 내외'로 설정했다. 중국 31개 성(省)·시·자치구는 연초 경제성장률 목표 등 경제 계획을 수립한 후 중앙정부에 보고한다. 이를 근거로 중앙 정부는 한 해의 성장률 목표치를 결정,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해 공개한다. 베이징시의 연간 성장률 목표치는 중앙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와 사실상 같은 경향을 보여왔다. 따라서 이번 베이징시의 GRDP 5%내외는 올해 중국 중앙 정부의 목표치가 5% 내외가 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성장률 목표와 관련, 베이징시 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측은 기대 안정 및 신뢰 제고, 고용 안정, 사회주의 현대화 실현, 14차5개년 경제계획 연계, 달성 가능성을 고려해 5% 내외를 목표로 설정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달성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계획을 세웠으며, 5% 정도 성장해야 인민 생활이 안정될 수 있다는 게 발개위 측은 설명이다. 발개위 측은 그러면서 5% 내외 성장은 여전히 매우 어려운 일이
중국이 미국 국채 보유량을 늘렸다. 중국은 7개월 연속 미 국채를 줄인 바 있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11월 미국 재무부의 국제자본흐름보고서(TIC)를 인용, 11월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전월보다 124억 달러 늘어난 7820억 달러라고 22일 전했다. 중국은 지난 2022년 4월 이후 미 국채 보유액을 1조 달러 미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4월 이후 7개월 연속 미 국채 보유액을 줄이면서 한때 보유액이 7000억 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 아니냐라는 분석도 나왔다. 펑파이는 지난해 11월 기준 일본과 중국, 영국 모두 미 국채 보유액을 늘렸다고 전했다. 미 국채 보유액 1위 국가인 일본은 지난해 11월 293억 달러를 늘려 총 보유액은1조1275억 달러라고 설명했다. 3위국가인 영국도 같은 기간 232억 달러 늘어난 7162억 달러 어치의 미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중국 내부에선 해외 자산 포트폴리오 재구성 차원에서 미 국채 보유 규모를 축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미 국채 비율이 계속 상승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점에서 위험 분산 차원에서 미 국채 보유액을 감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쉽게 말해 미국
중국 저명 경제학자가 14억 인민의 실제 소득이 늘어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소비 촉진 정책의 출발점이 실질 소득 증가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쥔 상하이 푸단대 경제학원장은 19일 중국 매체 펑파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가장 시급한 일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어려워진 경제 주체를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3년 간 어려움을 겪은 중저소득층과 중소 영세기업 지원에 정부 정책이 집중돼야 한다"라며 "정부는 이 분야에 더 많은 지출을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팬데믹 기간 영세기업 및 중저소득층이 입은 피해를 정책적으로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그는 재차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소비촉진을 위해 소비자 쿠폰 발행 등의 재정정책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 "가계 소비를 늘리는 것 아닌, 가계 소득을 늘릴 수 있는 방향으로 정부가 고민해야 한다"면서 중저소득층과 영세 기업에 대한 감세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저소득층 및 영세 기업에 대한 감세 정책은 소득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소비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장 원장은 인식의 변화, 즉 과거의 건설 금융에서 복지 금융으로 정책이 점진적으로 전환해야
중국 경제가 지난해 5.2% 성장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중국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연간 목표치는 '5.0% 안팎'이었다. 지난해 목표치는 달성했지만 올해 경제 상황이 녹녹치 않다는 점에서 올해 중국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지난해 GDP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126조582억 위안(한화 2경2270조원)이라고 발표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이 전년 대비 4.1% 증가한 8조9755억 위안을 기록했고, 2차 산업은 4.7% 늘어난 48조2589억 위안으로 잠점 집계됐다. 3차 산업은 68조8238억 위안으로 전년 보다 5.8% 증가했다. 지난해 분기별 GDP는 1분기가 4.5%였으며, 2분기 6.3%, 3분기 4.9%, 4분기 5.2%다. 전년 코로나19 봉쇄 정책이 강화된 탓에 하반기 기저효과가 사라졌다. 2023년 중국 경제를 견인한 것은 역시 소비다. 지난해 연간 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은 47조149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판매액 총액은 42조2881억 위안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 경제가 불안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소매 판매액이
중국 허난성(省)을 시작으로 올해 중국 지방정부의 지방채 발생이 본격화된다. 더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중국 경제에 활력을 넣기 위해 올해 지방채 및 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도 재정정책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올해 지방채 및 국채 발행 규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 9조 위안 내외의 지방채권이 발행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16일 중국 경제전문 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허난성 지방정부는 오는 17일 약 247억 위안(한화 4조6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한다. 랴오닝성 다롄시도 18일 11억 위안(2032억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중국 31개 성·시·자치구 중 올 1분기(1~3월) 중 지방채 발행 일정이 공개된 곳은 모두 28곳이며, 전체 발행 규모는 1조6000억 위안(296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선 경제 안정과 재정 지속 가능성을 감안, 올해 지방채 발행 규모가 9조 위안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발행된 채권은 인프라 건설 등 경기 부양과 기존 채권 상환에 사용될 전망이다. 제일재경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국무원의 부채 한도에 대해 승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