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아이폰 생산업체로 유명한 폭스콘이 배터리 회사를 공식 설립했다. 1일 증권시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폭스콘은 중부 허난성 정저우에 신에너지차 배터리를 생산할 자회사를 설립했다. 신설 법인의 사명은 '폭스콘 뉴 에너지 배터리 주식회사'다. 이 법인의 자본금은 6억 위안(한화 약 1161억원)이다. 이 회사 정관에 표기된 사업 범위는 배터리 제조, 배터리 판매, 자동차 등이다. 사업 범위만 놓고 보면 폭스콘의 전기차 사업 진출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폭스콘은 앞서 지난 7월 허난성 정부와 전략적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협약에 따라 허난성 정부는 정저우 폭스콘의 신규 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중국 내부에선 폭스콘이 아이폰 등 스마트폰 제조 기술을 보유한 만큼 지능(스마트)형 제조 분야에 경쟁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경쟁력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폭스콘 신설법인의 정확한 사업 목적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신에너지차 사업 진출을 위한 기반작업이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기차 사업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폭스콘은 정저우시와 1단계 프로젝트로 공장을 건설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1위 기업 비야디(BYD)의 분기 매출이 미국 테슬라를 추월했다. 비야디 분기 매출이 테슬라를 앞지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1일 동방재부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가 공개한 올 3분기 매출은 2011억2500만 위안(미화 약 282억 1057만3438달러)이다. 테슬라의 3분기 매출은 251억8200만 달러였다. 비야디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47% 증가한 116억7000만 위안(한화 약 2조2571억원)으로 집계됐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3분기 비야디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04% 증가한 것이며 올 1분기와 비교하면 18.94% 늘었다고 전했다. 반면 테슬라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 올 1분기 대비 0.53%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도 모두 테슬라를 넘어섰다는 의미다. 다만 순이익은 비야디가 테슬라를 넘지 못했다. 올 3분기 비야디의 순이익은 116억7000만 위안이지만 테슬라의 3분기 순이익은 21억6700만달러(약 154억5025만 위안)다. 이와 관련, 중국 내부에선 매출과 영업이익도 중요하지만 순이익도 의미가 큰 만큼 비야디의 이익 구조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중국에서 포르쉐의 가격이 최대 60% 할인됐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중국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됐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최근 일부 매체가 선전의 한 딜러점에서 포르쉐 마칸 2.0T 모델 엔트리 가격을 35만8000위안(한화 약 69780만원)에 책정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선전의 한 딜러가 포르쉐 마칸 2.0T 엔트리 모델을 35만8000위안에 판매한다는 것이다. 이 모델의 공식 판매 가격은 57만8000위안(한화 약 1억1300만원)이다. 이 가격이 사실이라면 60%나 할인된 가격이다. 중국에서 판매되는 포르쉐 마칸은 모두 4개 모델이며, 가격은 57만8000~85만8000위안이다. 일부 선전 딜러들이 포르쉐 마칸 가격을 35만8000~61만8000위안에 할인 판매한다는 소식이 일부 매체를 통해 전해졌다. 일부 딜러의 경우 마칸 2.0T 모델을 34만 위안이라는 더 낮은 가격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칸은 포르쉐 모델 가운데 가격이 가장 낮은 저가 모델이다. 하지만 할인율 60%라는 소식에 중국 소셜미디어(SNS)상에서 큰 화제가 됐다. 펑파이는 선전과 광둥에 위치한 여러 딜러 매장에 연락해 할인율 60%에 대해 문의한 결과, 60% 할인 프로모션은
10월 중국 자동차 소매 판매가 22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24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가 분석한 10월 중국 자동차 시장 전만에 따르면 10월 첫째주 국경절 연휴로 인해 판매가 주춤했으나 다시 판매량이 증가했다. 실제 10월 첫째주 일평균 소매판매는 4만97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하지만 둘째주 일평균 판매는 7만9200대로 전년동기 대비 47.7%, 전월대비로는31.0% 급증했다. 셋째주 판매는 일평균 판매 대수가 6만3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 CPCA는 중국 자동차 시장이 신차 보조금 정책 효과를 보고 있다면서 10월 판매량이 220만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는 115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CPCA의 전망대로 신에너지차 판매가 115만대에 이를 경우 10월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52%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10월 중국 자동차 할인율은 약 24.3%로 전월과 비슷하다고 CPCA 측은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 승용차 소매판매의 80%를 차지하는 선두업체의 10월 소매판매 목표가 전월 대비 약 4%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비야디(BYD) 등 시장 선두업체들의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방문, 진좡룽 중국 공업정보화부장(장관)과 회동했다. 팀 쿡 CEO가 중국을 찾은 것은 지난 3월 상하이 방문 이후 7개월 만이다. 23일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공식 홈페이지에 진 부장과 팀 쿡 애플 CEO가 이날 오전 베이징에서 만나 애플이 중국 내 발전과 데이터 보안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진 부장은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통신 분야의 개방을 질서 있게 확대했다"면서 이로 인해 전 세계 기업이 중국에 투자하고 활동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중국)는 계속해서 외부 세계에 대한 높은 수준의 개방을 확대하고, 디지털 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며,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 부장은 "애플이 계속해서 중국 시장에 혁신적인 투자를 늘리며, 중국 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고품질 발전을 공유해 달라"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팀 쿡 CEO는 "애플은 중국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며 산업 및 공급망의 고품질 발전에 기여할 의향이 있다"라고 화답했다. 이날 회담에는 산업정보기술 관련 부처 및
팬데믹 이후 글로벌 항공 시장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비즈니스 항공 수요가 감소했다는 것. 반면 여행 항공 수요는 증가하는 등 미세하지만 항공 시장의 프레임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견해다. 중국 교통운수부와 상하이 정부가 22일 공동 주최한 '2024 베이와이탄 국제운항포럼'에서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왕창순 중국항공운송협회 회장은 포럼에서 올 3분기까지 레저 등 여행 관련 승객이 전년 동기 대비 2.7%포인트 늘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 비즈니스(출장) 수요는 3%포인트 줄었다고 덧붙였다. 미국에서도 이 같은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그는 말을 이었다. 미국의 주말(토~일) 승객이 전녀 동기 대비 약 10% 증가했다는 것. 왕 회장은 국제 항공 수요에도 변화가 보인다고 전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미국 국제 항공 승객은 모두 1억840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늘었다고 말했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1%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이 중 미국과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멕시코, 이탈리아 등 국제선 노선 승객 수는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25%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량난 중국 민간항공국 부국장은
중국에서 알코올(메탄올) 수소차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는 일반 휘발유 자동차에 비해 배출가스가 적고 열효율도 높다. 메탄올은 석탄을 고온·고압에서 물과 반응시켜 수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산한다. 석탄에서 수소와 메탄올을 추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자는 게 핵심이다. 중국은 한국과 유럽, 일본 등 일부 국가만 보유한 수소연료전지차(FCEV) 기술을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특허 등을 감안, 수소연료차 부문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중국은 알코올 수소차 개발에 적극적이다. 21일 중국경제참고보에 따르면 최근 중국 베이징에서 '중국 전기자동차 100인회' 주최로 열린 '2024 알코올·수소전기차 발전포럼'에서 상용차의 전동화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올 1월부터 9월까지 중국의 승용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46.8%에 달한다. 반면 상용차의 보급률은 15.9%에 불과하다. 승용차 보급률과 상용차 보급률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상용 신에너지차 보급률이 낮은 것은 긴 충전시간, 에너지 충전시설 부족, 제품 성능 불안정 등이 거론되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 승용차보다 상용차를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것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4분기에도 중국 자동차 시장이 긍정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5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9월 중국 승용차 전국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5% 늘어난 210만9000대다. 9월 누적 판매 대수는 1557만4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의 경우 9월 한달 간 112만3000대가 판매됐다. 이는 전월 대비 9.6%, 전년 동월 대비로는 50.9% 증가한 숫자다. 9월 기준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53.3%로 전년 같은 기간 36.9%보다 16.4%포인트 급증했다. 1월부터 9월까지 소매 누적 판매 대수는 713만2000대로 전년 동기 37.4% 늘었다.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과 달리 휘발유 등 기존 연료차의 판매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연료차의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22%가 떨어진 99만대에 그쳤다. 누적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난 833만대였다. 추이둥수 중국승용차협회(CPCA) 사무총장은 "대체 구매 수요가 신에너지차로 집중되면서 연료차 판매가 부진했다"면서 이는 전기차
미국 테슬라가 중국에서 300만 번째 차량을 출시했다. 지난 2019년 2월 첫 전기차를 출고한 후 5년여 만이다. 14일 치처즈지아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테슬라 차이나는 최근 상하이 공장에서 300만 번째 차량 출고식을 가졌다. 테슬라는 지난 2019년 12월 상하이 중국 공장에서 첫 차(모델3)를 출고했다. 중국 상하이 공장은 테슬라의 첫 해외 생산 공장이다. 테슬라 차이나는 2022년 8월 100만 번째 차량 출고식을 가졌고, 2023년 9월 200만 번째 차량 출고식을 개최한 바 있다. 100만 번째 차량 출고까지 걸린 시간은 32개월이다. 200만대에서 300만대까지 걸린 시간은 13개월에 불과했다. 그만큼 전기차 시장이 커졌다는 의미다. 중국에 있어 상하이 테슬라 공장은 애증적 존재다. 미국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기업이 중국 최초로 외자 독자로 건설한 공장이다. 또 상하이 공장의 직원 99%가 중국인다. 이와 함께 '메이드 인 차이나' 테슬라를 수출한다는 점에서 중국이 수출 효자 상품이기도 하다. 실제 중국 매체들은 300만대 가운데 100만대가 아시아태평양 및 유럽으로 수출됐다고 전했다. 100만번째 수출용 차량은 지난달 28
유럽연합(EU)의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확정되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4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고 45.3%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관세안을 가결했다. 관세안이 확정되자 중국 상무부는 이날 EU의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보호무역주의에 단호히 반대한다라는 성명을 냈다. ◆반발하는 중국 중국 상무부는 중국 전기차 산업은 지속적인 자주 혁신을 통해 세계에 고품질의 녹색 공공재 공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강조한 뒤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며, 정상적인 국제 무역 질서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조치는 중국과 EU의 경제(무역 및 투자)협력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EU의 녹색 전환 과정을 지연시켜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글로벌 노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다만 중국은 협상을 통해 문제를 계속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였다. 그러면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는 어떤 문제도 해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럽에 투자하고 있는 중국 기업의 신뢰와 결단을 방해한다는 점을 EU측은 분명히 깨닫기를 바란다라고 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