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3% 하락한 3만4945.47에 장을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12% 오른 4508.24를,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07% 오른 1만4113.67을 나타냈다. 긴축 기조 전환에 힘을 실어주는 지표가 나왔지만 뉴욕증시는 이날 관망세가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다우 지수는 3만5000 고지를 넘어선 후 하루 만에 소폭 내려왔고, 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상승했지만 강도는 약했다. 지난 주 미국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인원은 23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실업보험 청구 인원이 늘었다는 것은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미이자 경기 둔화를 뜻한다. 다만 여전히 23만명대라는 점에서 아직은 노동 시장이 견조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경기 둔화 전망에 국제 원유 가격은 크게 떨어졌다.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4.9% 급락한 배럴당 72.90달러에, 브렌트유는 전장 대비 4.6% 떨어진 배럴당 77.42달러에 거래됐다. 국제유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엑슨모빌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까지 둔화되면서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했다. 다만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상승, 상승 폭은 제한됐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7% 오른 3만4991.21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각각 0.16%와 0.07% 상승한 4502.88과 1만4103.84에 거래를 마쳤다. 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4500대와 1만4000대에 진입했다. 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확신이 확산되면서 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10월 미국 PPI는 전월보다 0.5% 하락했다. PPI는 2020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PPI가 전월보다 하락한 것도 지난 5월 이후 5개월 만이다. PPI는 시차를 두고 CPI에 영향을 준다. 또 10월 미국 소매판매 역시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다만 미 10년물 국채는 하루 만에 반등했다. 이날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장보다 0.1%포인트 상승한 4.54%를 나타냈다. 10년물 국채는 전날 0.18%포인트 급락한 바 있다. 국제 유가는 크게 떨어졌다. 중국의 석
현재 중국 내에 44곳의 반도체 웨이퍼 공장이 가동중이며, 내년 연말까지 32곳의 공장이 추가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중국 IT전문매체 IT즈자(之家)가 15일 전했다. 이 매체는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 화훙(華虹)반도체, 허페이징허(合肥晶合)반도체(넥스칩, Nexchip) 등 3곳이 웨이퍼 공장 건설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중국에는 51개의 반도체공장이 존재하며, 이 중 7곳은 가동중단 상태로, 44곳의 반도체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이 중 12인치 웨이퍼 공장이 25개, 6인치 공장이 4개, 8인치 공장이 15곳이다. 이 밖에 22곳의 반도체 웨이퍼 공장이 현재 건설중이다. 이 중 12인치가 15곳, 8인치가 8개다. 또한 SMIC, 허페이징허, CXMT, 실란(士蘭) 등의 업체가 10곳의 반도체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 중 12인치는 9곳이고, 8인치는 1곳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 연말이면 중국에 32곳의 신규공장이 건설되게 된다. 이들 모두는 성숙공정(28나노 이상)을 채택하고 있다. 새로 건설되는 반도체 공장 중에는 12인치 공장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12인치 공장은 8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뉴욕증시가 급등했다. 반면 미국 국채 금리는 급락했다. 미국 경제가 물가 공포에서 벗어났다는 분위기가 확산, 긴축이 조만간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43% 상승한 3만4827.7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1.91% 오른 4495.70을, 나스닥 지수는 2.37% 급등한 1만4094.38을 기록했다. 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지난 4월 27일 이후 6개월여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날 증시를 이끈 것은 미국 10월 CPI였다. 미 노동부는 이날 10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 3.7%보다 둔화된 것이며 시장 예상치 3.3%를 밑돌았다. CPI 둔화 소식이 전해지면서 뉴욕증시는 시작부터 상승세를 탔다. 미국 금리 인상이 사실상 종료됐다는 기대감이 작용했다. 이날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2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9.7%까지 올랐다. 전날 85.7%에서 99.7%까지
중국의 반도체 장비 업체인 성메이상하이(盛美上海, ACM Research)가 포토리소그래피(노광기)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트랙(Track) 장비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메이상하이는 지난 11일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IR 자료를 13일 공개했다고 중국 퉁화순(同花順)재경이 14일 전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성메이상하이는 ArF(액침불화아르곤), KrF(크립톤 플루오라이드) 노광기에 사용되는 트랙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상당한 진전을 보였으며, 올해 말에 포토리소그래피 설비에 장착할 계획이다. 현재 성메이상하이의 트랙장비는 하루에 300~330장의 웨이퍼를 가공할 수 있는 효율을 지니고 있으며, 향후 400~450장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회사 측은 "개발중인 트랙 장비는 10년 이상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전자제어 및 소프트웨어 안정성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지니고 있다"며 "현재 글로벌 시장의 독점을 깨트리고 세계에서 2번째로 트랙장비를 공급할 수 있는 업체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트랙설비는 노광공정에서 빛을 사용해 포토레지스트에 이미지를 전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반도체 웨이퍼의 특정부분에 미세한 패턴을 만들기 위한 단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했지만 큰 혼란이 없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6% 상승한 3만4337.87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08% 밀린 4411.55에,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22% 하락한 1만3767.74에 거래를 마쳤다. 무디스는 지난 10일 장 마감 후 미국의 신용등급을 기존 최고 등급인 'Aaa'로 유지하지만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당시 미국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위험이 증가했고, 미국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신용 강점이 더 이상 이를 완전히 상쇄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지난 8월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미국의 재정 및 거버넌스 악화와 채무 부담 등을 이유로 신용 등급을 전격 강등한 바 있다. 미국 국채 금리도 큰 변동이 없었다. 10년물 국채는 전장 보다 0.01%포인트 오른 4.638%에 거래됐고, 2년물은 오히려 0.03%포인트 하락한 5.033%에 장을 마감했다. 미 국채 수익률이 무디스의 신용등급 전망 하향에 예민한
중국의 반도체 노광기(포토리소그래피) 업체인 SMEE(상하이마이크로전자, 上海微電子)가 중국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금융기관인 중신건투(中信建投)는 최근 보고서를 발표해 SMEE가 중국 증권시장에서 상장을 신청할 계획임을 공개했다고 중국 매체 금융계가 13일 전했다. 중신건투는 SMEE의 상장 준비 주관사다. 다만 상장일정은 제시되지 않았다. 중신건투는 보고서에서 SMEE의 상장을 위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지적했다. 주요 문제로는 모집자금을 사용할 투자 프로젝트와 모집자금 수요가 꼽혔다. 관련사항을 확정한 후 기업의 시장가치를 산정하고 일정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SMEE의 상장은 SMEE가 현재 개발 중인 노광기의 성능 및 출시 일정과 관련이 있다. 보다 높은 기업가치를 산정받고 대규모의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SMEE의 경쟁력을 시장에 증명받아야 한다. 현재 SMEE는 28nm(나노미터)급 노광기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 7월 칭화(靑華)대학 연구팀의 회사방문 당시 SMEE는 "28나노 노광기 제조기술 분야에서 획기적인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SMEE는 2021년 28나노 노광기를 출시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올해 중국 상위 10대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의 매출액이 전년대비 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반도체협회 집적회로설계분회 이사장인 웨이샤오쥔(魏少軍) 칭화대 교수는 10일 광저우에서 개최된 '중국 집적회로 설계산업 2023 연차총회'에 참석, 이 같은 수치를 발표했다고 중국 IT전문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전했다. 웨이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2023년도 중국 팹리스 업계의 실적 추정치와 팹리스 업체들의 수를 포함한 업계 상황을 설명했고, 중국내 팹리스의 경쟁력과 문제점도 함께 지적했다. 중국의 상위 10곳의 팹리스 매출 합계는 지난해 1226억 위안에서 올해 1829억위안(한화 33조원)으로 높아졌다. 또한 10곳 팹리스 매출 합계가 전체 중국 팹리스 업체 매출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22.9%에서 31.7%로 높아졌다고 소개했다. 웨이 교수는 "올해 반도체 산업이 하향 추세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위 팹리스 업체들이 성장한 것은 이들의 경쟁력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올해 중국의 팹리스 수는 3451곳이었으며, 이는 전년대비 208곳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한 팹리스 업계 전체의 매출액은 5774억위안으로 전년대비
10월 중국 자동차 소매 판매 대수가 203만3000대로 집계됐다. 또 올해 누적 판매 대수는 1726만7000대로 나타났다. 다만 중국 자동차 판매가 증가하고 있지만 완성차 기업의 수익성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의 '10월 전국 자동차 시장 분석'에 따르면 10월 한 달간 판매된 자동차는 전년 대비 10.2% 늘어난 203만3000대다. 누적 판매 대수는 1726만7000대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10월 중국 자체 브랜드 소매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20% 급증한 113만대다. 이에 따라 중국 자체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55.6%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4%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도매 기준으로는 60.1%에 달한다. 1월부터 10월까지 중국 자체 브랜드 시장 점유율은 51%다. 전년 대비 4.9%포인트 상승했다. 중국 자체 브랜드 판매가 급증하면서 합작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의 점유율은 떨어졌다. 10월 합작 브랜드는 68만대의 차량을 판매, 점유율이 전년 대비 2%포인트 떨어졌다. 지난달 독일 브랜드 점유율은 18.1%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하락했고, 일본 브랜드와 미국 브랜드 점유율은 전년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시사 발언과 미국 국채 금리가 반등하면서 증시 상승세를 막았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65% 하락한 3만3891.94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81% 하락한 4347.35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94% 밀린 1만3521.45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미 재무부의 30년 만기 국채 입찰 결과에 금리가 급등하면서 증시가 하락했다. 여기에 파월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발언이 나오면서 낙폭을 키웠다. 30년물 발행 금리는 입찰 전 금리보다 0.051%포인트 높은 수준에서 결정됐다. 응찰률이 예상보다 낮아 금리가 상승했다. 3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16bp가량 급등했고, 10년물 국채금리도 14bp가량 올라 4.63%를 나타냈다. 단기물인 2년물 국채금리는 10bp가량 상승하면서 다시 5%를 넘어섰다. 인플레이션을 2% 수준으로 낮추기에 충분할 정도의 정책기조에 도달했다고 보기에는 불충분하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이 알려지면서 증시 하락 폭을 키웠다. 파월 의장은 "2%까지 갈 길이 아직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