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완성차 업체들이 유럽 하이브리드 등 신에너지차(친환경차) 시장을 견인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유럽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급증한 것과 관련, 비야디(BYD)와 상하이차(SAIC) 등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확장한 결과라는 해석이다. 제일재경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8월 유럽(EU, EFTA, 영국 포함)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전년 대비 54.5% 증가하며 6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또 순수전기차 판매는 전년 대비 30.2% 증가했다. 30일 제일재경은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의 8월 판매 실적 데이터를 인용, 유럽 신에너지차 시장 성장은 중국 완성차업체들의 유럽 진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인 업체로 비야디를 꼽았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비야디의 유럽 판매량은 9만6000대다. 이는 전년 대비 무려 280%나 급증한 것이다. 비야디는 판매 순위에서 재규어 랜드로버와 혼다, 미쓰비시를 앞질렀다. 유럽 판매 성장률 2위 완성차 브랜드도 중국 업체다. 상하이차는 8월까지 유럽에 모두 19만2000대를 판매, 전년 대비 19.7% 증가했다. 중국 업체들의 성장과 달리 그간 성적이 좋았던 현대차와 도요타의 8월 누적 판매량은 전년
지난해 중국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712조원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제몐신문과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3조6326억8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8.9% 늘었다. 제몐신문은 전날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자료를 인용, 중국의 연구개발 규모가 세계 2위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장치룽 국가통계국 사회과학기술문화산업통계사 수석통계사는 14차5개년(2021~2025년) 계획 기간 중 중국의 연구개발투자액은 연평균 10.5% 증가했다면서 이는 당초 계획 목표를 웃도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규모는 2.69%에 달한다고 장 수석통계자는 덧붙였다. 중국 연구개발는 기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기업과 정부 산하 연구기관의 연구 개발 지출은 각각 2조8211억6000천만 위안, 4231억 6000위안이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8.8%와9.7% 늘어난 것이다. 특히 기업의 경우 전체 연구개발 지출은 75%에 달하며 전체 연구개발 지출 증가율의 77%를 차지한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유형별로는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실험 연구에 각각 2500억9000
중국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비야디(BYD)가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시작한다. 가격 할인 등 무분별한 가격 경쟁에 대한 따가운 시선에도 불구, 중국 완성차 업체들이 다시 가격 할인 전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6일 펑파이신문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최대 완성차 업체인 비야디는 25일 2세대 친 플러스를 출시하면서 국경전 가격 프로모션을 발표했다. 비야디는 여러 모델의 가격은 한시적으로 1만 위안(한화 약 198만원) 할인한다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지난 8월 이후 매주 10개 이상의 신차가 출시되고 있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는 소리다. 신차 출시와 함께 업체들은 가격 인하 또는 한정 한인 등의 프로모션을 병행하고 있다. 미국업체 테슬라도 예외는 아니다. 테슬라 차이나는 이달 초 모델3(후륜)모델에 대해 1만 위안을 할인했다. 테슬라가 할인 포문을 열자 샤오펑이 5년 무이자 할부 금융 프로모션을 발표했고, 니오와 리오토는 옵션이 늘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그대로 유지했다. 사실상 가격 인하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9월과 10월이 최대 성수기다. 국경절 연휴가 있는 9월과 10월 차 판매가 크게 증가한다. 특히 신에너지차 차
"차세대 개인 맞춤형 범용 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이하 AGI)는 인공지능 발전의 종착점이 아니라 출발점이다".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24일 항저우에서 열린 '2025 운치 컨퍼런스' 개막식에 참석, '초인공지능으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의 기조 연설을 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3년간 알리바바는 AI 발전 방향을 명확히 목격했다면서 AI 산업 침투율은 역사상 모든 기술을 능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면서 알리바바는 AGI가 일반적인 인간의 인지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는 점을 목격했다라고 말했다. 우 CEO는 AI가 3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 초인공지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첫 단계로 AI가 인간으로부터 학습하는 단계 즉 지능의 출현을 언급했다. 두 번째 단계는 자율적인 AI가 출현, 인간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 세계 인구보다 더 많은 지능형 에이전트와 로봇이 인간과 함께 일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 단계는 인간을 능가하는 AI의 자기 반복 단계라고 그는 언급했다. 우 CEO는 알리바바는 AI 시대를 이한 운영 체제 구축을 목표로 오픈 소스에 전념
런정페이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양칭 둥펑자동차 회장에게 한 말이다. 23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은 둥펑자동차 공식 위챗을 인용, 선전을 방문한 양 회장이 런 회장과 만났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는 쉬즈쥔 화웨이 순환 회장이 동석했다. 양 측은 전략적 상호 신뢰 및 전력적 협력 강화, 기업 지배구조 및 운영 등 혁신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 회장은 둥펑차는 신에너지와 지능형 기술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면서 화웨이와 전략적 협력을 계속 강화해 산업 변화와 시장 과제에 대처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런 회장은 "자동차 산업의 기본은 좋은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고, 자동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라고 말했다. 쉬 순환 회장은 이 자리에서 "화웨이가 둥펑자동차의 변화와 발전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말했다. 양 회장과 런 회장간 회동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둥펑차와 화웨이간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스마트카)에 대한 양 측의 협력이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
중국 당국이 과잉 생산과 수요 부족이라는 난제에 봉착한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신규 생산 시설을 금지하기로 했다. 철강 관련 산업의 신규 투자를 규제하겠다는 것이다. 22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와 상무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등 중국 산업 관련 부처는 이날 '철강업 안정적 성장 작업 계획(2025~2026)'를 발표했다. 발표된 계획안의 핵심은 철강 생산 시설 추가 투자 금지다. 수요 부족과 공급 과잉으로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추가 투자를 막아 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철강 생산능력과 생산량에 대한 정밀한 통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2년간 중국 철강산업의 부가가치를 연 평균 약 4%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중국 철강 수요 부족 및 과잉생산 구조는 중국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다. 과잉생산이 글로벌 철강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철강업 부진은 부동산 시장과 관련이 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으면서 철강 수요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중국 부동산 시장의 단기 회복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나마 자동차(냉영) 및 조선(후판) 산업의 철강 수요는 증가하고
워렌 버핏이 중국 1위 신에너지차 업체인 비야디(BYD) 지분을 처분했다. 지난 2008년 비야디 지분 인수 이후 17년 만이다. 22일 제일재경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는 보유 중인 비야디의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버크셔 해서웨이 측은 보유 중인 비야디 주식을 모두 매각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비야디 측은 주식 매각과 관련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버핏이 비야디 지분을 인수한 것은 지난 2008년 9월 버크셔 해서웨이의 자회사인 미드아메리칸 에너지를 통해 비야디 주식 2억2500만주를 주당 8 홍콩달러에 매입했다. 이는 비야디 전체 주식의 약 10%에 해당되는 것으로 주식 투자금은 약 18억 홍콩달러에 달한다. 버핏은 지난 2022년 8월 비야디 주식 133만주를 평균 277 홍콩달러에 매각, 3억6900만 홍콩달러를 현금화한 바 있다. 그 이후 버핏은 비야디의 지분을 여러 차례 줄였다. 주식 매각으로 버핏의 비야디 지분은 4.94%까지 줄었다. 버핏은 지난 2017년 인터뷰에서 비야디에 투자하기로 한 자신의 결정에 대해 왕촨푸는 훌륭한 아이디어가 많고, 그것을 현실로 만드는 데 매우 능숙하다"라
비야디(BYD)가 '부가티 시론 슈퍼 스포트 300+'보다 빠른 순수 전기자동차를 선보였다. 부가티 시론 슈퍼 스포트 300+의 최고 속도는 시속 490.48km다. 22일 치처즈지아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은 지난 20일 순수 전기 슈퍼카 '양왕 U9 익스트림(이하 U9 익스트림)' 스페셜 에디션을 공식 공개했다. U9 익스트림의 출력은 2220kW(3019 마력)다. 이 신차는 독일 파펜부르크 ATP 테스트 트랙에서 시속 496.22km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 또 독일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 트랙에서 6분 59초 157의 랩타임 신기록도 경신했다. 이로써 U9 익스트림은 순수 전기차 가운데 가장 빠른 전기차에 이름을 올렸다. U9 익스트림의 차체는 전장 4991mm, 전폭 2029mm, 전고 1351mm이며, 휠베이스는 2900mm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티타늄 합금 브레이크 캘리퍼와 카본 세라믹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 제동 면적을 늘리고 방열 효율을 향상시켰다. 배터리는 리튬 인산철 배터리 팩이 탑재됐다. 고성능이라는 점에서 배터리 셀을 최적화하고 내부 저항을 줄이며 새로운 이중층 냉각 구조가 적용됐다. 내부 센터 콘
화웨이가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7 시리즈 공식 판매에 앞서 할인에 들어갔다. 19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 17일부터 메이트 70 시리즈 등 플래그십 모델 3종에 대해 가격을 인하했다. 아이폰17 시리즈 공식 판매일인 앞두고 가격 인하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자사 플래그십 모델 3종의 가격을 1000~2000위안 인하했다.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가격 인하는 이례적이지만 메이트 80 시리즈 출시까지 상당 기간이 필요한 만큼 가격 인하를 통해 아이폰17 시리즈와 경쟁하겠다는 뜻이다. 중국 당국이 내수 경기 부양 차원에서 스마트폰에 500위안의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올해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카운터포인트 리서치가 발표한 올해 1분기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화웨이의 경우 플래그십 모델 판매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8.5%나 판매량으 증가했다. 화웨이의 시장 점유율은 19.4%까지 상승했다. 아이폰17 시리즈 출시로 자칫 점유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화웨이가 플래그십 모델 가격을 낮췄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2분기 기준 중국 스마트폰 시장
중국 배터리 1위 업체인 닝더스다이(CATL)가 새로운 나트륨 배터리를 고객사와 함께 구현 중이라고 밝힘에 따라 중국 내부에서 나트륨 배터리 상용화에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19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CATL은 지난 17일 고객사와 함께 새로운 나트륨 승용차용 배터리가 순조롭게 개발 중이며, 내년 양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CATL은 지난 2021년에 셀 에너지 밀도가 160Wh/kg인 1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출시한 바 있다. 지난 4월에는 셀 에너지 밀도가 175Wh/kg인 새로운 나트륨 이온 배터리 브랜드를 선보였다. 이는 리튬 인산철 배터리의 일반적인 성능인 185~190Wh/kg에 근접한 것이다. 이와 관련 CATL은 새로운 나트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175Wh/kg에 달하고, 순수 전기 주행 거리가 500Km나 넘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내 승용차 시장 숭의 40% 이상을 충족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나트륨 배터리는 가격이 비싼 리튬이 아닌 나트륨을 사용한다. 화재 등 안전성이 높고, 저온 방전 유지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삼원계 리튬배터리와 리튬 인산철배터리와 달리 흑연(음극제)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