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시점이 기대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지표가 나오면서 뉴욕증시가 약세를 이어갔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03% 오른 3만7440.34로 장을 마감했다. 하락 하루 만에 반등했지만 힘은 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34% 하락한 4688.68로, 나스닥 지수는 0.56% 떨어진 1만4510.30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 지수는 하락 하루 만에 반등했지만 힘은 약했고, 나스닥 지수는 거래일 기준 지난해 12월 28일 이후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공개된 고용 지표는 인플레이션(물가)이 예상만큼 빠르게 둔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12월 ADP 전미 고용보고서의 민간 부문 고용은 전월보다 16만4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여전히 미국 고용시장이 견조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목표치에 도달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감이 증시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오는 3월에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66.4%를 기록했다. 전날 인하 가능성은 70.8%였다. 시장의 기대와 달리 금리 인하 시점이
올해 중국에서 AI(인공지능) 칩의 국산화가 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중국 상하이증권보가 4일 전했다. 스마트컴퓨팅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컴퓨팅의 핵심은 AI칩이며, AI칩 중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 분야에서 중국은 미국의 강도 높은 제재를 받고 있다. 매체는 GPU 분야에서 엔비디아가 독점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갖고 있는 가운데 올해 AI칩 분야에서 국산화 대체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량샤오샤오(梁曉曉) 상하이교통대학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중국의 AI칩 개발은 ▲전용 칩 개발▲범용 GPU 칩 개발 ▲특수 칩 개발 등 3가지로 진행되고 있다"며 "특수 칩 개발은 메모리-연산 일체화 칩, 양자컴퓨팅, 광자컴퓨팅 등의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최근 들어 중국에는 AI칩을 개발하는 벤처기업들이 잇달아 생겨나고 있으며, 이들은 각자 여러가지 기술경로로 발전해가고 있다"고 평가하며 지난달 12월 중국의 AI칩 개발 벤처 기업인 무어스레드(Moore Thread, 중 모얼셴청, 摩尔線程)가 컴퓨팅센터를 설립한 사실을 대표적인 성과로 꼽았다. GPU를 개발하는 업체인 무어스레드는 '콰어
나스닥 지수가 새해 들어 이틀 연속 하락하는 등 뉴욕증시가 하락세를 이어갔다. 그간 금리 기조가 유지될 수 있다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낙폭을 키웠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76% 하락한 3만7430.19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도 전장보다 0.80% 떨어진 4704.81로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8% 밀린 1만4592.21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에도 1.63% 떨어지는 등 이틀 연속 1% 이상 하락했다. 금리 인하를 기대하던 시장과 달리 FOMC는 기조 변화에 신중했다. 연준 위원들은 기준금리가 고점이거나 고점 부근이라는 데 동의했지만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또 경제 상황에 따라 추가 금리 인상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의사록에 담겼다. 이날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오는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70.8%를 나타냈다. 전날 금리 인하 가능성은 80.4%였다. 전월 FOMC 의사록 내용이 알려지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즉각 반응했다. 10년물은 장중 한때 4%
중국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쯔광잔루이(紫光展銳, UNISOC)가 새로운 5G 스마트폰용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공개했다. 쯔광잔루이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새로운 AP 제품인 T765 프로세서를 공개했다고 중국 IT전문매체 재커(ZAKER)가 3일 전했다. T765는 중저가 5G 스마트폰을 겨냥해 개발됐다. 성능은 향상된 반면 가격이 낮아져 가성비가 높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AP는 CPU(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처리장치), 통신칩, DSP(디지털신호프로세서), 메모리 컨트롤러, 이미지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쯔광잔루이의 T765는 6나노(nm) 공정을 통해 제작되며 대만 TSMC가 외주 제작한다. AP는 2.3GHz의 대용량 코어 2개와 2.1GHz의 소형 코어 6개로 이뤄진 CPU가 장착됐다. GPU로는 Arm의 Mali G57이 사용됐다. 이미지칩으로는 메인 2개, 보조 2개로 이뤄진 쿼드코어 ISP(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아키텍처가 사용됐다. 트리플 카메라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AI 장면분류, 제스춰 촬영 AI 인물감지, 페이스 ID 등 첨단 카메라 기술도 지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칩으로는 5G 모뎀칩이 장착됐으며,
뉴욕증시 3대 지수가 2024년 첫 거래일 혼조세를 보였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63% 떨어진 1만4765.94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57% 밀린 4742.83으로 첫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 지수 역시 장 초반부터 부진했지만 장 마감 반등, 전장보다 0.07% 오른 3만7715.04로 장을 끝냈다. 첫 거래일인 2일 차익매물이 나왔고,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증시를 끌어내렸다. 특히 나스닥 종목들이 영향을 받았다. 빅7 종목 가운데 시가총액 1위 애플 주가가 전장 대비 3.6%나 급락했다. 엔비디아와 메타도 전장 대비 2% 이상 떨어졌고,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트프, 아마존도 1% 이상 하락했다. 지난해 말 상승을 주도했던 종목들이 새해 첫 거래에서 일제히 하락했다. ASML의 중국 수출 면허 일부 취소에 이날 ASML홀딩 주가는 5% 이상 하락했다. 중국 내부에선 이번 수출금지로 ASML차이나의 매출이 10~15%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여기에 국채 금리 상승이 주가를 더욱 끌어내렸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6bp 가량 상승한 3.9
중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중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웨이얼(韋爾)반도체(영문명 윌세미컨덕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IT 전문 매체인 지웨이왕(集微网은 중국 아이지웨이(爱集微)지재권컨설팅이 집계한 자료를 인용, 웨이얼반도체가 604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2일 전했다. 아이지웨이는 특허 수와 글로벌 특허 보유수, 특허 품질 등을 정량화해 자체적으로 지수화했으며, 지수순으로 상위 20개 업체를 발표했다. 웨이얼반도체는 특허수량 6045건에, 특허지수 4270점으로 중국내 1위를 차지했다. 웨이얼반도체는 매출액 기준 세계 10대 팹리스 순위에서 중국업체로는 유일하게 9위에 랭크된 업체이기도 하다. 웨이얼반도체는 이미지센서를 주로 생산판매한다. 2위는 후이딩커지(匯頂科技, 구딕스)로 보유 특허수는 6594건이다. 구딕스는 지문 인식칩 글로벌 1위 기업이다. 3위는 스마트폰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쯔광잔루이(紫光展銳, UNISOC)였다. 쯔광잔루이의 특허수는 6080건이다. 아이지웨이는 윌세미컨덕트, 구딕스, 쯔광잔루이 등 3개 업체를 중국 팹리스 톱티어로 평가했다. 이어 CPU(중앙처리장치)를 설
중국에서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첫 전기자동차가 납품됐다. 나트륨 배터리는 리튬 배터리와 비교해 가격경쟁력이 큰 배터리다. 29일 중국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장링자동차는 전날 푸넝기술과 공동으로 개발한 나트륨 배터리를 탑재한 EV3 모델을 인도했다. 앞서 지난 27일 장화이자동차(JAC) 자회사인 이웨이는 나트륨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상용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웨이는 나트륨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를 생산, 내년 1월부터 고객에게 인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웨이는 독일 폭스바겐과 장화이차가 합작으로 설립한 전기차 생산 업체다. 펑파이는 이웨이가 먼저 발표했지만 공장 생산라인에서 나트륨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는 장링차가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23년은 나트륨 배터리가 산업화되는 중국 나트륨 배터리 원년이라고 강조했다. EV3 모델에 탑재된 나트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140~160Wh/kg이며, 과충전, 과방전, 침수 등 여타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펑파이는 전했다. 또 영하 20도에서 배터리 에너지 유지율은 91%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나트륨 배터리는 가격이 비싼 리튬이 아닌 나트륨을 사용한다. 화재 등 안전성이 높고, 저온 방전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4% 오른 3만7710.10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04% 상승한 4783.35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03% 하락한 1만5095.14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이날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S&P 지수는 이전 최고치를 13포인트 가량 남겨두는 등 강보합세를 보였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탔지만 2023년 폐장을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다. 빅7 종목 가운데 알파벳을 제외한 모든 종목은 올랐다. 애플은 전장 대비 0.22% 상승했고, 엔비디아와 메타플랫폼스,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0.21%와 0.14%, 0.32% 상승했다. 알파벳은 0.10% 내린 주당 140.2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채권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수요가 회복,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유가는 원유 운송 차질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는 전장 대비 3.2%나 떨어진 배럴당 71.77달러에,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1.3% 하락한 배럴당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소폭 상승하며 산타 랠리를 이어갔다. 다만 장중 혼조세를 보여 재료 부족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11.19포인트(0.30%) 오른 3만7656.52로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14% 상승한 4781.58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16% 오른 1만5099.18로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꾸준히 상승세를 보여왔다. 시장은 연준이 내년 3월 첫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날 연방기금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내년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90%까지 올랐다. 국채 금리도 반응했다. 10년물 국채는 전장 대비 11bp 하락한 3.78%로, 2년물 국채는 13bp 떨어진 4.22%에서 거래됐다. 뉴욕증시가 상승했지만 빅7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애플워치 판매금지 중단 가처분 신청이 수용되면서 애플이 0.05% 반등했고, 엔비디아는 전장대비 0.28% 상승 마감했다. 테슬라와 메타도 전장 보다 각각 1.88%와 0.85%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와
뉴욕증시가 '산타 랠리'를 이어갔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3% 상승한 3만7545.33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42% 오른 4774.75로 장을 마쳤다. S&P 지수는 지난해 1월 3일 사상 최고치(4796.56)에 바짝 근접했다. 나스닥 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0.54% 상승한 1만5074.57로 장을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기조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하면서 시작된 산타 랠리가 연말 증시를 달궜다. 시장은 여전히 기준금리 인하 시기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3월 인하 기대감을 키웠다. 실제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내년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82.9%를 나타냈다. 이날 증시는 반도체 주가가 상승을 이끌었다. 이스라엘 반도체 공장 증설 계획이 나온 인텔은 이날 5.21% 급등했고, AMD는 2.73%, 퀄컴은 1.37%, 엔비디아는 0.92% 상승했다. 중국 전기자동차 종목들도 오름세를 탔다. 프리미엄 모델 'ET9'를 공개한 니오가 전장 대비 10.81% 폭등했고, 리오토와 샤오펑은 각각 3.77%, 1.59%를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