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주춤했던 미국 국채 금리가 다시 상승하면서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미국 소매 판매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면서 긴축 우려가 확산된 탓이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04% 오른 3만3997.65로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01% 떨어진 4373.20으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25% 밀린 1만3533.75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3분기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과 9월 미국 소매 판매 증가 등 호재와 악재가 겹쳤다. 우선 미 상무부가 공개한 9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7%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0.2%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소매판매 증가는 여전히 인플레이션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 미국 국채가 반응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13bp 이상 오른 4.84%를, 2년물 국채금리는 10bp가량 상승한 5.21%를, 30년물 국채금리도 8bp 오른 4.93%를 나타냈다. 10년물과 30년물 다시 최고치 수준에 근접했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뉴욕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 전쟁과 국채 금리 상승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3분기 기업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93% 상승한 3만3984.54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1.06% 오른 4373.63에,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20% 상승한 1만3567.98에 거래를 끝냈다. 이날 뉴욕증시는 장 초반부터 오름세를 보이며 3분기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지난주 JP모건과 웰스파고 등의 실적 호조 분위기가 이어졌다. 이날 증시는 미 국채 금리 상승 보다 실적 호조에 더 관심을 보였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날보다 8bp 가량 오른 4.70%를, 2년물은 5bp 가량 상승한 5.10%를 나타냈다. 국채 금리가 여전히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분위기가 작용, 주요 관심사가 3분기 기업 실적에 집중됐다.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도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이 현실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작용했다. 실제 이날 국제 유가는
중국의 메모리 제품 제조업체인 롱시스(장보룽, Longsys)가 하이엔드급 메모리 제품인 eSSD와 RDIMM을 양산 중이다. 롱시스는 지난 12일 중국내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IR행사를 진행했으며, 16일 공개한 주요 발언록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고 중국 동방재부망이 전했다. eSSD(Enterprise Solid-State Drive)는 기업용 고성능 데이터 저장장치를 말한다. 일반 SSD에 비해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을 갖춰야 하며, 대용량 데이터 저장과 높은 연산력을 지원해야 한다. 또 RDIMM(Registered Dual In-Line Memory Module)은 메모리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을 칭한다. 버퍼가 존재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이 향상된다. 대규모 서버 및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두 제품 모두 하이엔드 메모리 제품으로, 롱시스가 이들 제품을 생산해 판매한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 공개됐다. 롱시스는 “기업용 메모리 기술은 난이도가 높고, 연구개발(R&D) 투자가 수반되며, 제품개발 주기가 길고, 품질 요구사항이 까다로운 분야”라며 “2020년부터 이 분야를 적극 개척했다”고 소개했다. 롱시스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중기 정책 금리인 1년물 중기 유동성 지원창구(MLF) 금리를 2개월 연속 동결했다. 인민은행은 16일 1년물 MLF 대출 7890억 위안(한화 146조1622억원)에 대해 종전과 동일한 금리인 2.50%를 적용했다. 또 인민은행은 이날 7일물 역레포(역환매조건부 채권)를 통해 1060억 위안(19조6400억원)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했다. 금리는 종전과 같은 1.80%를 유지했다. 5000억 위안의 MLF 대출의 만기가 도래한 점을 감안하면 인민은행이 이달 신규 투입한 자금은 2890억 위안(53조5400억원)에 달한다. 인민은행은 지난 6월과 8월 MLF 금리를 각각 10bp와 15bp 인하한 바 있다. 통상 MLF 금리가 유지되면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도 동결되는 경향이 있다. 인민은행이 MLF 대출 금리를 그대로 두고 LPR 금리만 조정한 것은 2019년 8월 이후 단 2차례(2021년 12월과 2022년 5월) 뿐이다. 은행 예금과 MLF 간의 이자율 스프레드가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것도 MLF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 꼽힌다. 이때문에 인민은행이 유동성만 추가 공급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중국 내부에선 이
ARM차이나 전직 직원들이 중국에서 반도체 업체를 설립했다. 일본 소프트뱅크가 소유한 영국의 반도체 설계 업체 ARM은 전세계 반도체 설계자산(IP) 분야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 업체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가 부과된 이후 ARM은 ARM차이나에 대해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이 과정에서 이탈한 직원들이 새로운 반도체 설계회사(팹리스)를 설립한 것이다. 이들은 2021년 4월 보루이징신(博瑞晶芯)이라는 업체를 설립했으며, 최근 ARM차이나 출신의 연구개발(R&D) 책임자와 영업책임자, 대관책임자가 이 업체에 추가로 합류했다. 이 중 대관책임자가 현재 회사의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고 중국 IT전문매체 지웨이왕(集微網)이 13일 전했다. 특히 ARM차이나는 올해 2월 약 100여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해고된 직원 대부분 R&D 인력이며, 상당수가 보루이징신에 합류했다. 보루이징신은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과 서버 컨트롤러를 위한 전용 반도체를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보루이징신 측은 스스로가 ARM차이나의 고객사중 하나이며, ARM차이나와 경쟁관계에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 보루이징신의 사업이 발전하면 ARM차이나의
9월 중국 소비자물가(CPI)가 제자리걸음을 했다. CPI가 전년 동월 대비 0.15%(예상치)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멈춘 것이다. 다만 CPI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마이너스 폭을 줄이고 있어 중국 경제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0.0%를 나타냈다고 13일 공개했다. 이는 국제 원자재 및 원유 가격이 상승, 당초 CPI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과 다른 결과치다. 중국 CPI는 지난 7월 마이너스를 기록,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행히 지난 8월 플러스로 전환, 디플레이션 우려가 해소됐지만 다시 0.0%를 기록한 것이다. CPI에 영향을 미친 것은 식료품이다. 9월 식료품 물가는 지난해 9월과 비교해 3.2%나 떨어졌다. 반면 비식품 물가는 0.7% 상승하는데 그쳤다. 식료품 가운데 육류 가격이 12.8%나 하락했다. 이로 인해 CPI를 약 0.45%포인트 떨어뜨렸다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 육류 가운데 돼지고기 가격이 무려 22.0% 하락했다. 신선 채소 가격도 6.4% 하락했고, 수산물 가격도 1.5% 떨어졌다. 돼지고기 가격은 7월 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 보다 높게 나오면서 뉴욕증시를 끌어내렸다. 9월 CPI 공개 이후 미국 국채 금리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51% 하락한 3만3631.14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62%와 0.63% 떨어진 각각 4349.61과 1만3574.22로 거래를 마쳤다. 뉴욕 3대 지수가 하락한 것은 5거래일 만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전쟁에도 밀리지 않던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에 즉각 반응했다. 9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했다. 전월보다는 0.4% 올랐다. 물가가 예상치를 웃돌자 미 국채 금리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날 2년물 국채금리는 전일보다 7bp가량 상승한 5.07%를, 10년물 국채금리는 13bp가량 오른 4.70%를, 30년물 국채금리 17bp가량 상승한 4.86%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증시는 국채 금리 상승세를 지켜보면서 관망세로 전환됐다. 오는 11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 역력했다. 시장은 여전히 동결의 희망하고 있다.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중국이 초전도체 신경망 프로세서 칩을 개발했다. 중국과학원 컴퓨팅기술연구소의 룽하이항(龍海航)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이 초전도체 신경망 프로세서인 '쑤스(蘇軾, SUSHI)'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해냈다고 중국 IT 전문 매체인 IT즈자(IT之家)가 11일 전했다. 연구팀은 해당 칩의 이름을 송나라 시인 소식(蘇軾)의 이름에서 따왔다. 쑤스는 초전도체 단일자속양자(SFQ : Single Flux Quantum) 회로를 기반으로 한다. SFQ 회로는 초고속 계산속도와 초저 전력소모를 특징으로 하며, 전통적인 컴포팅 칩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미래형 반도체로 꼽힌다. 초전도체 컴퓨팅 칩은 최근들어 로직 컴퓨팅 분야 연구개발의 핫스팟으로 떠오른 분야다. 연구팀은 초전도 SFQ 회로에 기반한 신경망, 온칩 네트워크 설계 등을 기반으로 칩을 개발했다. 쑤스 칩은 중국과학원 상하이 마이크로시스템 정보기술연구소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2마이크로미터 SIMIT-Nb03 초전도 집적회로 공정으로 제작됐고, 테스트 검증을 거쳤다. 또한 신경망 컴퓨팅 네트워크의 정확한 추론 결과를 얻는데 성공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초전도체 컴퓨팅 칩을 활용해 얻어낸 최초의 결과라고 연구팀이 설명했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19% 오른 3만3804.8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43% 상승한 4376.95로 장을 마감했고,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71% 뛴 1만3659.68로 거래를 끝냈다. 이날 증시는 미 국채 금리 움직임에 반응했다. 국채 금리는 미국 생산자 물가가 전월보다 약화됐다는 소식에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10bp 이상 하락한 4.56%에서, 30년물 국채금리는 13bp가량 떨어진 4.70% 근방에서 거래됐다. 단기물인 2년물 국채는 전날과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됐다. 이날 뉴욕증시는 기축 기조가 다소 완화됐다는 분위기 작용했다. 하지만 중동 정세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우려감이 여전히 존재, 당분간 긴축 기조 유지가 기본 베이스로 깔려 있다는 점에서 증시 상승세는 유동적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실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당시 19명 위원 가운데 12명은
중동 지정학적 긴장속에도 뉴욕증시가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미국 국채 금리 하락과 국제유가 진정세 등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면서 지수를 지탱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0.40% 오른 3만3739.30으로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는 전장보다 0.52% 상승한 4358.24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0.58% 뛴 1만3562.84로 거래를 마쳤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이 시작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작용, 이날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10년물 국채금리는 마감 시점 전장보다 014bp 하락한 4.66%를, 2년물 국채금리는 10bp 떨어진 4.97%를 나타냈다. 국제 유가도 하루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와 블렌트유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떨어진 85달러와 87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국제 유가는 전날 이·팔 전쟁으로 4% 이상 폭등한 바 있다. 이·팔 확전 가능성에도 불구, 미 국채 금리 및 국제 유가 하락 등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되면서 뉴욕증시가 상승 모멘텀을 유지했다는 분석이다. 전날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