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샤오미가 만든 첫 번째 전기자동차가 대중에 공식 선보였다. 28일 치처즈자 등 중국 자동차 전문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미는 기술 발표회를 열고 첫 전기차인 'SU7' 공개했다. 레이쥔 샤오미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기술 발표회에 참석, "오늘은 샤오미가 전기차 사업에 진출한 지 1003일째 되는 날"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뒤 "앞으로 15~20년 안에 글로벌 '톱5' 자동차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포르쉐, 테슬라와 경쟁하겠다며 경쟁 브랜드를 지목했다. SU7의 제로백은 2.78초다. 이는 포르쉐 타이칸 터보의 2.93초보다 빠르다. 또 SU7의 최고 속도는 시속 265Km로 이 역시 타이칸 터보의 시속 260Km보다 빠르다. 샤오미 측이 공개한 제동거리(시속 100Km에서 급제동시 멈춘 거리)는 33.3m로 타이칸 터보의 34m보다 짧다. 샤오미가 SU7 개발 초기부터 경쟁 모델로 포르쉐과 테슬라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들은 샤오미가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면서 그간 모두 100억 위안(한화 1조8000억원) 가량을 투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첫 전기차인 SU7에는 샤오미의 자체 운영체제(OS)인 하이퍼(Hyper) OS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이 내년부터 재편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올해 시작된 전기차 가격경쟁이 내년에도 이어지는 등 중국 전기차 시장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장융웨이 '중국 전기자동차 100인회' 비서장은 27일 중국 매체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중국 전기차 산업 환경이 재편기에 진입했다"라고 말했다고 중국 매체 펑파이가 28일 전했다. 중국전기자동차 100인회는 2014년 중국 공업화정보부, 과학기술부, 교통운수부, 환경보호부 등 6개 부처와 민간 기업이 참여해 설립한 단체다. 장 비서장은 "내년 중국 전기차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경쟁 구도가 더욱 차별화되는 해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2년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퇴출될 기업은 앞으로 2년 안에 퇴출될 것"이며 "여기서 생존한 기업은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중국 내부에서 중국 전기차 시장이 재편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천위둥 보쉬 차이나 대표는 "가격 할인을 통해 자동차를 판매한다는 것은 시장이 그만큼 성숙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향후 5년 이내 중국 완성차 업체의 80% 정도가 폐업 등의 어려움
중국 공업기업의 공업이익(이익 총액) 감소 폭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이익은 중국 제조 기업의 수익성을 가늠할 수 지표 중 하나다. 27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11월 '규모 이상(연간 매출 2000만 위안 이상 기업)' 공업기업의 공업이익은 6조9822억8000만 위안(한화 1263조30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10월까지 공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바 있다. 한달 새 감소 폭이 3.4%포인트나 축소됐다. 소유형태별로는 중국 국유기업의 공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한 2조2411억40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반면 민영기업은 전년 대비 1.6% 늘어난 2조23억1000만 위안을 나타냈다. 주식제기업(주식회사)의 경우 전년 대비 3.1% 감소한 5조1593억7000만 위안이었다. 해외 기업과 홍콩·마카오·대만 투자 기업은 전년 대비 8.7% 줄어든 1조6217억8000만 위안이었다. 업종별로는 광업이 전년 대비 18.3%나 급감했고, 제조업도 4.7% 감소했다. 이와 달리 에너지 관련 기업은 전년 대비 4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에 따라 공업기업의 공업이익이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전반
중국 전기자동차 스타트업인 니오(NIO 웨이라이)가 플래그십 모델인 'ET9'를 공개했다. 이 전기차의 판매 가격은 80만 위안(1억4553만원)으로 그간 니오가 출시한 전기차 가운데 가장 비싸다. 니오는 지난 23일 니오데이에서 리빈 니오 창립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모델 'ET9'을 선보였다. ET9에는 니오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 드라이빙 칩이 사용됐으며 900V 고전압 아키텍처가 적용됐다. 또 기존 니오가 사용하던 75kWh 삼원계 리튬 배터리 팩과 100kWh 삼원계 리튬 배터리 팩이 아닌 120kWh 배터리 팩이 적용된다. 이 120kWh 배터리 팩은 원통형이며, 단일 셀의 에너지 밀도는 292Wh/kg라고 니오 측은 설명했다. 특히 900V 고전압 아키텍처가 적용, 10분 이내에 배터리의 80%까지 출전이 가능하다고 니오 측은 소개했다. 방전 상태에서 5분만 충전해도 최대 255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니오데이에서 가장 큰 주목을 끈 부문은 니오가 자체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스마트 드라이빙 칩이다. ET9에는 니오가 자체 개발한 '선지 NX9031' 반도체 칩이 적용된다. 이 칩은 5나오(nm)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 칩
중국 당국이 2024년도 일부 수입 상품에 대한 관세를 조정했다. 22일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2024 과세위원회 고시 제10호'를 통해 일부 수출입 상품의 관세를 내년 1월 1일부터 하향 조정한다. 이번에 관세가 조정되는 품목은 모두 1010개이며, 이들 품목의 수입 세율은 최혜국 세율보다 낮게 적용된다. 중국 당국이 제조업과 관련이 짙은 원자재와 중간재, 부품에 대한 수입관세를 인하한다. 가장 눈에 띄는 품목은 염화리튬과 탄산코발트 등 원자재다. 이들 품목은 배터리 생산과 관련이 짙다. 관련 제품의 수입관세를 인하하면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의 생산비 절감 등 관련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 관세위원회가 고시한 임시 세율표에 따르면 염화리튬의 잠정세율은 0%다. 미관세 품목이라는 의미다. 염화리튬의 최혜국 적용 세율은 5%다. 이외에 탄산코발트와 연료전지용 산화 이리듐 등 관련 품목의 세율도 0%다. 황융허 중국 자동차 기술연구센터 선임 연구원은 펑파이와의 인터뷰에서 "염화리튬과 탄산코발트, 수산화코발트, 니켈 등의 자원은 전기차 산업의 핵심 원료"라며 관세 인하는 신에너지차 산업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소매 판매가 775대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중국승용차협회(CPCA)가 집계한 12월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약 94만대로 전년 동월 대비 46.6% 증가했다. 전월 대비로는 11.8% 증가해 중국 전기차 업체의 대대적인 할인 행사가 판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연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36.5% 증가한 775만대로 추정됐다.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 보급률(신차 판매 대비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은 전년보다 8%포인트 상승한 35.8%에 달할 것으로 CPCA는 예상했다. 775만대가 소매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도매 기준 판매는 800만대를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CPCA는 12월 한 달간 중국 자동차 전체 소매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8% 늘어난 약 227만대로 추산했다. CPCA는 12월 첫째 주 주요 제조사의 일 평균 소매 판매 승용차 대수는 4만7500대로 집계했고, 둘째 주는 6만6800대, 셋째 주는 7만5700대로 계산했다. 12월 마지막째 주는 일 평균 11만4300대가 될 것으로 예상, 12월 한달 간 227만대의 승용차 판매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올해 유럽연합(EU) 신에너지자동차(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판매량이 신규 승용차 등록의 절반 가량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향후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중국과 미국 등 주요 신에너지차 소비국에 비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 차이롄서는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의 통계를 인용,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EU 전체 승용차 신규 등록의 47.6%가 신에너지차라고 21일 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3%보다 4.6%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또 11월 한달 간 EU 전체 승용차 등록의 51.8%가 신에너지차였다고 차이롄서는 설명했다.이 가운데 전기차 등록은 전년 동월 대비 13.3% 증가했고, 휘발유차 등록은 4.2% 증가했다. 반면 디젤차 등록은 10.3% 감소했다. EU 지역 주력 유종이 디젤인 점을 감안하면 디젤 수요가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11월 전기차 등록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6.4% 늘어난 14만4378대였다. 국가별로는 벨기에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50.2% 증가했고, 유럽 최대 전기차 시장인 독일은 전년 대비 22.5% 감소한 4만4942대에 그쳤다. 차이롄서는
중국 자동차 전문 매체가 현대자동차의 러시아 공장 매각 소식을 전하면서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그 빈자리를 대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자동차 전문 포털 사이트 치처즈지아는 현대차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공장(HMMR) 매각 소식을 20일 보도했다. 현대차는 19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HMMR과 제너럴모터스(GM)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매각을 승인했다. 현대차는 향후 2년 이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조건으로 러시아 현지업체 아트파이낸스에 공장을 매각했다. 이와 관련 치처즈지아는 '현대차, 러시아 공장 매각으로 2억1900만 달러 손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현대차가 러시아 공장을 7000루블(551위안, 77.67달러)에 매각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 러시아 공장 매각으로 현대차는 한국 돈 2870억원(15억6000만 위안)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치처즈지아는 미국과 동맹관계인 한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전쟁)에서 우크라이나 측에 서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현대차는 일본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함께 러시아가 서방으로부터 제재를 받자 러시아 사업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지난 2022년 3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연말을 앞두고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업체들이 대대적인 할인 행사에 돌입했다. 중국 1위 업체인 비야디(BYD)가 할인 전쟁의 포문을 열었고, 20여곳이 가격 할인 전쟁에 참전했다. 중국 내부에선 지나친 가격 경쟁의 기업이 채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연간 판매 목표 달성에 각 업체들이 주력하는 모습이다. 19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샤오펑이 올 연말까지 주력 모델인 'G6' 시리즈에 한 해 1만 위안(한화 182만원)을 할인한다. 이번 할인으로 샤오펑 G6의 엔트리 가격은 19만9900위안(3641만원)으로 20만 위안 아래로 떨어졌다. G6는 샤오펑의 월간 판매량의 전반 정도를 차지하는 인기 모델이다. 샤오펑은 'G9(SUV)'과 'P7i(세단)'도 할인한다. G9의 최대 1만9000 위안 할인하며, P7i는 2만6000 위안 가격 인하 프로모션을 시작했다. 지난 3월 출시된 P7i의 시작 가격은 24만9900 위안이다. 자율주행 보조운전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가격은 26만9900위안이다. 연말 연식 변경 등을 감안해도 할인 폭이 크다. 이처럼 할인 폭이 큰 것은 연초 목표에 크게 미달했기 때문
중국 전기자동차 기업인 니오(NIO·웨이라이)가 반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으로 1000Km 이상 주행하는 테스트를 실시했다. 반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로 가기 위한 중단 단계 배터리다. 중국 과창반일보는 19일 니오가 지난 17일 자체 개발한 반고체 배터리를 'ET7' 모델에 탑재한 후 중간 충전 없이 1044Km를 주행하는 도로 테스트를 실시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6시 32분 상하이 월드엑스포센터를 출발한 ET7 모델은 오후 8시 33분 푸젠성 샤먼시에 도착했다. 이날 테스트에는 리빈 니오 창업자가 직접 참여했으며, 니오 공식 채널을 통해 생방송됐고, 200만명 이상이 이 과정을 지켜봤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니오 측은 운행 종료 후 총 주행시간(정차시간 제외)은 12시간40분이며, 평균 운행 속도는 시속 83.9Km였다고 설명했다. 또 전체 운행 거리는 1044Km이며, 이 가운데 957Km는 스마트 주행 운행이었다고 부연했다. 테스트 시간 중 외부 온도는 영하 2도에서 0도였고, 차량 하중은 약 190Kg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도로 주행에 탑재된 배터리는 150kWh 용량의 반고체 배터리다. 니오와 웨이라이신에너지가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