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중국 자동차 판매 대수가 202만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27일 중국 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10월 중국 자동차 판매(소매) 예상 수치는 전년 동월 대비 9.5% 늘어난 202만대로 잠정 집계됐다. 202만대 가운데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6% 증가한 75만대로 예상됐다. 10월 기준 전기차 중국 보급률은 신차 판매 대비 약 37.1%에 달한다. 지난 9월까지 올해 중국 전기차 판매 대수는 518만8000대다. 10월 판매 대수 75만대를 합하면 593만8000대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연간 전기차 판매 대수는 700만대를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CPCA는 10월 자동차 판매가 전월(9월)보다 0.1%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판매 호조세가 이어지는 것과 관련, CPCA는 완성차 업체의 자동차 할인 판매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10월 전체 자동차 판매 할인율은 전월보다 0.2%포인트 높은 18.7%라고 설명했다. CPCA는 10월 국경절 연휴 기간이 포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 정부의 자동차 소비 촉진 정책이 이어졌고, 완성차 업체들의 가격 프로모션까지 겹치면서 자동차 판매가 호조세를
중국의 자율주행 자동차 스타트업인 포니닷에이아이(샤오마즈싱)가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로부터 1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26일 동방재부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마즈싱은 전날 사우디 네옴 투자 펀드(NIF)로 부터 1억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샤오마즈싱과 NIF는 사우디 북서부 네옴시티에 합작회사를 설립, 자율주행과 관련된 연구개발을 함께 수행하기로 했다. 양측은 또 자율주행차 관련 인프라 구축도 함께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 영역을 사우디는 물론 중동과 북아프리카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사우디는 네옴시티를 자율 운송 기반 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힌 바 있다. 마지드 무프티 NIF 대표는 이번 투자와 관련 "네옴 시티의 자율(스마트) 운송 전략과 일맥 상통한다"면서 "샤오마즈싱은 자율주행 연구개발 분야에서 성숙한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네옴시티는 샤오마즈싱의 자율 주행기술을 이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역"이라고 덧붙였다. 샤오마즈싱은 베이징과 광저우에서 로보 택시를 시작한 중국 최초의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기업이다. 또 중국 주요 4개 도시 1선 도시에서 최초로 자율주행 시범
닝더스다이(CATL) 헝가리 데브레첸 베터리 공장이 착공했다. CATL 헝가리 공장은 환경 오염을 우려하는 현지 주민들의 반발과 헝가리 야당의 반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조사 등으로 착공이 반년 가까이 지연됐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CATL 투자자 설명회 내용을 인용, 헝가리 배터리 공장이 최근 1단계 공사를 시작, 2년 안에 완공될 것이라고 24일 전했다. CATL은 지난해 8월 헝가리 데브레첸에 73억4000만 유로를 투입,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공장의 연산 배터리 생산능력은 100기가와트시(GWh)로 유럽 최대 배터리 공장이 될 것이라고 당시 CATL 측은 발표했다. 하지만 이 공장의 착공이 지연되면서 자칫 공장 건설이 무산된 것 아니냐라는 우려가 나왔다. 환경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었고, EU가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 같은 우려가 나왔다. 실제 헝가리 배터리 공장 지하수 오염 문제가 현지에서 거론되면서 헝가리 배터리 사업이 암초에 부딪혔다는 분석이 나오기까지 했다. 이와 관련 펑파이는 새로 개발된 정화 장치를 통해 지하수 오염을 막을 수 있다는 헝가리 현지 언론 보도를 인용했다.
중국 세무 당국의 대만 폭스콘 세무조사와 관련 중국 당국의 대만 총통 선거에 간접적 관여 시도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2일 대만 폭스콘의 중국 본토 회사에 대한 세무 사찰(조사)과 토지 이용 실태 조사를 관련 부서에서 관련 법에 따라 실시하고 있다고 단독 보도했다. 환구시보는 광둥성과 장쑤성에서는 세무조사를, 허난성과 후베이성에서는 공장 부지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와 관련 환구시보는 중국은 대만 동포와 대만 기업에 동등한 대우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토에 투자한 동포 기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폭스콘을 포함 대만 동포 기업이 중국 본토에서 발전을 이루면서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과 양안(중국과 대만) 관계의 평화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애플 아닌 대만 총통 선거 겨냥 의혹 허난성 정저우 폭스콘 공장은 애플 아이폰을 생산하는 공장이다. 전 세계 아이폰의 80% 정도가 정저우 공장에서 생산된다. 중국 화웨이가 신형 스마트폰 메이트 60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애플 아이폰과 중국 내 판매 경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조사가 애플을 겨냥한 것 아니냐
중국이 갈륨과 게르마늄에 이어 흑연을 수출 통제 품목에 포함시켰다. 흑연은 배터리 등 2차 전지 음극재 핵심 원료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20일 상무부과 해관총서(세관)이 공동 명의로 '흑연 품목에 대한 임시 수출 통제 조치' 공고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 공고는 중화인민공화국 수출통제법과 대외무역법, 관세법에 의거한 것이라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 1일부터 고순도(세관상품번호 3801100030), 고밀도(3801909010), 고밀도(6815190020), 인조 흑연재 및 관련 제품 등 중국산 흑연 품목은 수출시 통제를 받게 된다. 제일재경은 관련 품목 수출 기업은 중국 지방 상무부에 관련 수출 서류와 수입 기업에 대한 자료를 제출, 사전 수출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또 수출 기업이 허가없이, 또는 허가 범위를 벗어나는 품목을 수출할 경우 관련 법 및 규정에 따라 행정 처벌을 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와 관련 상무부는 특정 흑연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는 일반적인 국제 관행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세계 최대 흑연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며, 국가 안전과 이익을 수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
중국의 28nm(나노미터) 이상 성숙공정 생산능력이 33%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매체 즈퉁(智通)재경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TrendForce)를 인용, 현재 29%인 중국의 28nm 이상 성숙공정 생산능력이 오는 2027년 33%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19일 보도했다. 현재 글로벌 성숙공정과 선진공정(16나노 이하)의 생산능력 비중은 7:3이며, 이 비율은 2027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중국이 성숙공장 증설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중국의 성숙공정 생산능력이 크게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로 인해 중국의 성숙공정 비중은 오는 2027년 33%까지 오르는 반면 대만 비중은 현재 49%에서 42%로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중국의 경우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 화훙(華虹)반도체, 허페이징허(合肥晶合)그룹(Nexchip) 등 3곳의 반도체 업체가 가장 적극적으로 증설에 나서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또한 중국 내 증설은 ▲드라이브 칩▲CIS(이미지센서)와 ISP(이미지 신호 처리 모듈)▲파워반도체 등 3가지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로 인해 유사한 공정 플랫폼을 지닌 업체들은 향후
중국 당국이 부동산 구매 제한을 완화하는 등 부동산 경기 부양에 나서고 있지만 중국인들이 주택 구매를 주저하고 있다. 자체 금리 결정권을 일부 부여받은 은행권이 부동산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은 좀처럼 움직이지 않고 있다.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9월 70대 주요 도시 상업용 주택 판매 가격 동향에 따르면 1선 도시의 신축 주택 가격은 전월과 같은 보합세를 보였다. 중국의 부동산가격 통계는 크게 1~3선 도시로 구분된다. 1선 도시는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4개 도시를, 2선은 톈진, 다롄, 난징 및 항저우, 닝보, 칭다오, 충칭 등 31개 도시를, 3선은 지린, 우시, 쉬저우 등 35개 도시다. 1선 도시 가운데 가격이 상승한 곳은 베이징과 상하이 뿐 여타 주요 1선 도시의 가격은 하락했다. 상하이와 베이징은 전월 대비 각각 0.5%와 0.4% 상승한 반면 광저우와 선전은 각각 0.6%와 0.5% 떨어졌다. 중고 주택의 경우 베이징과 상하이가 전월 대비 각각 0.7%와 0.6% 상승했고, 광저우는 전월 대비 0.7% 하락했다. 선전은 가격이 전월과 같았다. 신축을 기준으로 전년 동기로 가격을 비교하면 베이징과 상하이가 각
중국 전기자동차 기업인 비야디(BYD) 3분기 순이익이 최대 115억4600만 위안(2조134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연간 전기차 판매 대수가 300만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BYD가 중국 전기차 시장은 물론 전 세계 시장을 평정하는 모양새다. 18일 중국 증권일보 등에 따르면 BYD는 3분기에만 모두 82만4000대를 판매했다. 9월까지 누적 판매대수는 모두 207만9600대다. 이는 전년 대비 76.23% 증가한 것이다. 3분기 판매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순이익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3분기 BYD 순이익은 95억400만 위안에서 115억4600만 위안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최대 96.90% 증가한 것이다. 9월까지 누적 순익은 최소 205억 위안에서 최대 225억 위안으로 추정됐다. 최대 순익으로 보면 전년보다 무려 140% 이상 늘어난 것이다. 궁타오 선전 중진화촹 유한공사 회장은 비야디의 빠른 성장에 대해 "비야디의 기술 발전이 이익으로 이어졌고,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도 수익성에 도움이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가격대가 높은 전기차 개발과 그에 따른 판매 실적이 수익성 향상을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9월 중국 전력 사용량을 1면에 실었다. 전력 사용량이 증가했다는 것은 중국 경제가 정상화되고 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인민일보는 17일 중국 국가에너지국의 자료를 인용, 9월 중국 전력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7811억 ㎾h(킬로와트시)였다고 보도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의 전략 사용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 늘었고, 2차와 3차 산업의 전력 사용량은 각각 8.7%와 16.9%를 기록했다. 또 주민용 전력 사용량은 6.6% 증가한 1035억㎾h라고 설명했다. 올 1~3분기 중국의 전력 사용량은 총 6조8600억㎾h로 전년 동기 대비 5.6% 늘었다고 덧붙였다. 인민일보가 1면에 9월 중국 전력 사용량 기사를 내보낸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는 중국 경제가 회복세에 진입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고정자산투자와 관련 있는 9월 건설기계 가동률도 전월보다 0.54%포인트 상승한 59.96%를 나타냈고, 굴착기 가동률 역시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오는 18일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발표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전력 사용량 증가 관련 기사는 성장률이 기대 이상 나올 수 있다는
중국 최대 팹리스(반도체 설계회사)인 하이실리콘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화웨이(華爲)가 대규모 R&D센터를 완공했다. 화웨이의 상하이 칭푸(青浦) R&D센터가 전기 설비와 파이프 라인 설비 등 모든 건물이 최근 완공됐다고 상하이시 칭푸구(區) 인민정부가 위챗 공식계정을 통해 17일 발표했다. 2020년 9월 기공식을 가진 화웨이 칭푸 R&D 센터는 건물이 완공된 상태며, 현재 건물 외관작업, 인테리어 작업 및 R&D에 필요한 장비 반입 절차가 진행중이다. 2024년 초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R&D센터에는 4만 명의 엔지니어와 연구진이 업무를 보게 된다. 칭푸 R&D센터는 100억 위안 이상이 투자됐다. 반도체, 무선통신, IoT(사물인터넷) 등을 연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토지 면적은 27만㎡며 , 총 건축 면적은 43.48㎡다. 중국 매체들은 화웨이의 칭푸 R&D센터가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외주 제조업체)인 SMIC(중신궈지, 中芯國際) 인근에 건설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팹리스 사업이 강한 화웨이와 중국 최대 규모 파운드리인 SMIC의 협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화웨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