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반(反) 보조금' 조사 개시 방침이 알려지면서 중국 매체들이 여론몰이에 나서고 있다.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징벌적 관세가 부과될 경우 EU 전기차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논리다. 특히 중국산 전기차 관세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독일 언론들을 인용,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18일 'EU 중국 전기차 조사, 독일 언론 역효과'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징벌적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은 이에 대한 대응(보복)을 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본지 9월14일자 '파죽지세 中 전기차 낙관 봉착' 참조> 실제 독일 언론들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EU의 징벌적 관세 부과 시 가장 먼저 독일 전기차 업체들이 보복을 당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벤츠와 BMW 등 독일 유명 완성차 업체 3곳이 현재 중국 현지에 전기차 등을 생산하고 있다. 또 자동차 부품 세계 최고 기업인 보쉬도 함께 중국의 타깃이 될 수 있다는 게 독일 매체들은 시각이다. 환구시보는 독일 완성차 업체들의 독일뿐만 아니라 중국 사업이 많지만 프랑스
올 8월까지 중국 자동차 수출은 294만1000대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1.9% 증가한 것이다. 중국 자동차 수출을 견인하는 것은 전기자동차(이하 전기차)다. 올들어 수출된 전기차는 72만7000대다. 전체 수출 물량 가운데 27%가 전기차다. 특히 유럽연합(EU)으로 수출된 물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가 중국 전기차 규제에 나선 이유다. 중국은 반발하고 있다. 14일 중국 승용자동차협회(CPCA)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 전체 자동차 수출에서 EU 비중이 39.1%다. 2018년 5.7%였던 점을 감안하면 5년 새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39.1%에는 착시도 있다. 중국에 진출한 독일 등 유럽 완성차 메이커가 생산한 전기차 등 자동차도 39.1%에 포함된다. 중국 현지에서 생산, 중국 내수용으로 판매하고 일부는 유럽으로 수출하는 구조다. 순수 중국 브랜드만 놓고 보면 점유율은 8%다. 하지만 중국 브랜드 비중도 껑충 껑충 뛰고 있다. 2021년 4%에 불과했던 점유율은 지난해 6%를 나타냈고, 올해는 8%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올해 10%를 육박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브랜드의 약진은 역시
화웨이 스마트폰을 위탁 생산하는 폭스콘이 화웨이 폰 생산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을 26위안으로 책정하고 근로자를 모집하고 있다. 이는 아이폰 생산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21위안보다 높은 것이다. 숙련공들이 아이폰이 아닌 화웨이 폰 공장으로 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폰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아이폰 생산 근로자의 임금을 상승시킬 수 있어 애플 수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선전시 룽화구 소재 폭스콘 공장(Foxconn International Holdings : FIH)에서 시간당 26위안을 제공하는 구인 광고를 냈다고 14일 보도했다. 선전시는 화웨이 본사가 있는 곳으로, 화웨이는 룽화 폭스콘 공장에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60 시리즈'를 위탁 생산하고 있다. 제일재경은 시간당 26위안은 애플의 새 스마트폰인 '아이폰 15'을 생산하는 정저우시 폭스콘 공장(integrated Digital Product Business Group : iDPBG)의 시간당 21위안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FIH는 화웨이 폰 이외에 여타 스마프폰도 위탁생산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주로 화웨이 폰을 생산하고
지난달 중국 자동차 소매 판매가 월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8월 한 달간 자동차 판매 수치가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다. 11일 중국 승용자동차협회(CPCA)에 따르면 8월 한 달간 중국 승용차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8.6% 늘어난 192만대로 집계됐다. 이는 월간 기준 소매 판매 최고치를 기록한 2017년 8월보다 2% 더 늘어난 것이다.<본지 9월 7일자 참조> 이에 따라 8월까지 누적 승용차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322만2000대다. 8월 한 달간 판매된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는 모두 71만6000대(소매 기준)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4.5%, 전월 대비로는 11.8% 증가한 것이다. 소매 기준 8월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37.3%로 지난해 같은 기간 28.4%보다 9%포인트 증가했다. 8개월 간 누적 소매 판매는 모두 444만1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0% 급증했다. 도매 판매 기준으로는 지난달 79만8000대가 출고됐다. 누적 출고 대수는 507만8000대다. 도매 기준 8월 한 달간 판매된 모델 가운데 테슬라 모델Y가 6만5316대로 단일 모델로
중국이 최대 350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대형 항공기(여객기)를 설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형 항공기는 당초 러시아와 합작으로 만들 계획이었으나 최근 러시아가 이 대형 항공기 프로젝트에서 빠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1일 동방재부망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허둥펑 중국 국영 중국상용항공기(COMAC,코맥) 회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상하이 '푸장창조혁신포럼'에 참석, 항속거리 1만2000km인 C929 여객기에 대한 예비 설계 단계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여객기의 승객 수용 능력은 250~350명에 달한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앞서 코맥은 지난 5월 C919 여객기의 상업 비행을 시작한 바 있다. C919는 156~192명의 승객을 태우고 최대 5555km를 운항할 수 있는 중형 여객기다. 허 회장은 C919 여객기 2대가 현재 항공사에서 상업 운항을 하고 있다면서 주문받은 여객기는 모두 1061대라고 소개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형 여객기인 C929 개발을 위해 예비 설계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여객기 등 항공산업을 16개 국가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로 지정, 항공분야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C929는 러시아와
지난달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포함)가 모두 69만8000대 판매됐다. 당초 7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추정치에는 다소 떨어진 결과다. 하지만 6월과 7월 주춤했던 전기차 판매가 다시 기지개를 펴는 것으로 보인다. 내수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는 중국 당국 입장에선 나쁘지 않은 소식이다. 7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8월 한달간 중국에서 판매된 전기차는 전월 대비 9% 늘어난 69만8000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2% 늘어난 수치다.<본지 9월 4일자 참조>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소매 판매량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442만4000대다. 8월 한 달간 판매된 도매 판매량은 80만5000대다. 도매와 소매 판매 차이는 10만7000대다. 중국 승용자동차협회는 전기차 판매와 관련해 여름 휴가철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업체들의 할인 등으로 인해 신에너지차 판매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웨이라이(니오), 링파오, 나타 등 10개 이상 업체가 8월 여름 휴가철 이벤트 명목으로 가격 인하에 뛰어 들었다. 여기에 내수 활성화 차원에서 중국 당국이 각종 혜택을 부여하면서 주춤했던 전기
중국 전기자동차 기업들이 'IAA 모빌리티 2023(옛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이하 뮌헨 모토쇼)'에 대거 참석, 유럽시장을 공략한다. 중국 전기차의 비교우위는 역시 가격이다. 오는 2030년 유럽 내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6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유럽 시장을 눈독을 드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비야디(BYD)가 독일 뮌헨 모터쇼에 하이바오(씰) 모델과 쑹 플러스 EV 챔피온 에디션 등 다양한 전기차를 선보인다고 6일 보도했다. 펑파이는 이와 관련해 중국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기업들이 새로운 시장을 찾기 위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친환경차에 대한 정책과 인프라, 소비자 태도 등을 감안하면 유럽이 가장 빨리 발전할 수 있는 곳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수여우싱 BYD 유럽 판매 총괄 책임자는 "BYD 전기차가 지난해 유럽 15개국에 진출했다"면서 "영국과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현지 파트너와 함께 유럽 전역에 140개 이상의 매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전기차 메이커 샤오펑(XPeng Motors)도 유럽 진출을 놀리고 있다. 샤오펑은 'G9(SUV)'과 'P7i(세단)' 해외
중국 전기자동차가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오는 2030년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33%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5일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스위스 투자은행인 UBS가 최근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BYD)의 씰(하이바오) 모델을 분해한 후 원가 분석을 했다. 궁민 USB 중국 자동차산업 연구책임자는 "BYD 씰은 동급 모델과 비교해 약 25%의 가격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중국 전기차가 유럽 등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USB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전기차의 글로벌 점유율 현재 17%에서 오는 2030년 33%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로 인해 유럽 완성차 업체들의 유럽 시장 점유율이 81%에서 58%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롄페이쿤 USB 차이나 리서치 책임자는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세계 전기차 시장의 큰 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오는 2030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USB는 지난 2017년 GM 쉐보레 볼트를, 2018년과 2021년에는 테슬라 모델3와 폭스바겐 ID.3를 각각 분해, 원가 등 기술 경쟁력을 분석한 바 있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최근 선보인 신제품 '메이트 60 시리즈' 스마트폰 예약 시 최소 1주일을 기다려야 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이 전했다. 이 스마트폰은 지난달 29일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판매에 들어갔다. 중국 호사가들 사이에선 화웨이가 일정을 2주나 앞당겨 출시했다며 깊은 뜻이 담겨 있다고 입방아를 찧었다. 화웨이는 미국 등 서방 진영으로부터 제재를 받고 있는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5일 펑파이는 화웨이의 신형 스마트폰 메이트 60을 구매하는데 적어도 1~2주 기다려야 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예약 보증금으로 1000위안(한화 18만원)이다. 또 1인당 메이트 60 시리즈 한 대만 예약할 수 있다고 펑파이는 전했다. 화웨이는 나름 보안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화웨이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폰을 직접 수령하고, 현장에서 포장지를 뜯어야 한다고 펑파이는 강조했다. 펑파이는 화웨이 공식 홈페이지를 인용, 메이트 60과 메이트 60 프로는 오는 9월 17일 이후 배송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매체는 르포기사를 통해 화웨이 신형 폰을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선 중국인들을 취재하는 등 메이트 6
지난달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판매가 80만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다만 80만대는 도매 판매 수치다. 전국 딜러망을 통해 개인 소비자에게 판매된 대수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일부 밀어내기 등을 감안해야 하지만 여전히 중국 전기차 소비가 식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승용자동차협회(이하 협회)는 24일 홈페이지를 통해 8월 한 달간 판매된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도매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27% 늘어난 80만대로 추산했다. 이는 전월 보다 9% 늘어난 것이다. 협회는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도매 판매는 모두 508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고 전했다. 협회는 7~8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 당국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8월 소매판매는 70만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올해 중국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가 850만대에 이를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올해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2350만대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에너지차 보급률이 36%에 이를 것이라는 추산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1∼2035 신에너지산업 발전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