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을 앞두고 중국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 업체들이 대대적인 할인 행사에 돌입했다. 중국 1위 업체인 비야디(BYD)가 할인 전쟁의 포문을 열었고, 20여곳이 가격 할인 전쟁에 참전했다. 중국 내부에선 지나친 가격 경쟁의 기업이 채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연간 판매 목표 달성에 각 업체들이 주력하는 모습이다. 19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샤오펑이 올 연말까지 주력 모델인 'G6' 시리즈에 한 해 1만 위안(한화 182만원)을 할인한다. 이번 할인으로 샤오펑 G6의 엔트리 가격은 19만9900위안(3641만원)으로 20만 위안 아래로 떨어졌다. G6는 샤오펑의 월간 판매량의 전반 정도를 차지하는 인기 모델이다. 샤오펑은 'G9(SUV)'과 'P7i(세단)'도 할인한다. G9의 최대 1만9000 위안 할인하며, P7i는 2만6000 위안 가격 인하 프로모션을 시작했다. 지난 3월 출시된 P7i의 시작 가격은 24만9900 위안이다. 자율주행 보조운전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가격은 26만9900위안이다. 연말 연식 변경 등을 감안해도 할인 폭이 크다. 이처럼 할인 폭이 큰 것은 연초 목표에 크게 미달했기 때문
뉴욕증시가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8 거래일 연속 상승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사상 최고치(4796.56)를 눈앞에 두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 지수는 전장 대비 0.86포인트(0.0%) 오른 3만7306.02로 거래를 마감했다. S&P지수는 0.45% 상승한 4740.56에, 나스닥 지수는 0.61% 오른 1만4904.81로 장을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 3대 지수의 상승 폭은 크지 않았지만 지난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기조 전환 이후 뉴욕증시가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미 금융당국은 시장의 성급한 금리 인하 전망를 경계했지만 시장은 그 기대감을 버리지 않는 모양세다. 실제 이날 금리 선물 시장에서 내년 3월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68.8%에 달했다. 시장은 동결이 아닌 금리 인하 시기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빅7 종목 가운데 애플과 테슬라를 제외한 5개 종목이 2% 넘게 상승했다. 메타플랫폼이 전장 대비 2.90% 상승했고, 아마존과 알파벳은 각각 2.73%와 2.41%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2.43% 올랐고 마이크로소프트는 0.52% 상승했다. 증
중국 전기자동차 기업인 니오(NIO·웨이라이)가 반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으로 1000Km 이상 주행하는 테스트를 실시했다. 반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로 가기 위한 중단 단계 배터리다. 중국 과창반일보는 19일 니오가 지난 17일 자체 개발한 반고체 배터리를 'ET7' 모델에 탑재한 후 중간 충전 없이 1044Km를 주행하는 도로 테스트를 실시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6시 32분 상하이 월드엑스포센터를 출발한 ET7 모델은 오후 8시 33분 푸젠성 샤먼시에 도착했다. 이날 테스트에는 리빈 니오 창업자가 직접 참여했으며, 니오 공식 채널을 통해 생방송됐고, 200만명 이상이 이 과정을 지켜봤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니오 측은 운행 종료 후 총 주행시간(정차시간 제외)은 12시간40분이며, 평균 운행 속도는 시속 83.9Km였다고 설명했다. 또 전체 운행 거리는 1044Km이며, 이 가운데 957Km는 스마트 주행 운행이었다고 부연했다. 테스트 시간 중 외부 온도는 영하 2도에서 0도였고, 차량 하중은 약 190Kg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도로 주행에 탑재된 배터리는 150kWh 용량의 반고체 배터리다. 니오와 웨이라이신에너지가 공
중국 전기자동차 스타트 업인 리오(NIO·웨이라이)가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부다비 펀드 기관인 CYVN 홀딩스(이하 CYVN)로부터 22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중국 신생 전기차 업체들이 앞다퉈 해외 자본을 유치하는 것은 자금난 해소와 함께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중국 자동차 전문 포털 사이트 치처즈지아와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니오는 홍콩에서 CYVN와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CYVN은 니오 주식을 주당 7.50달러에 매입했다. 인수 주식은 모두 2억9400만 주다. 총 매입금액은 22억500만 달러다. CYVN의 리오 투자는 이번이 두번째다. 니오는 지난 7월 7억3850만 달러 규모의 지분 투자를 받았다. CYVN은 이어 텐센트 홀딩스가 보유하고 있던 니오지분을 3억5000만 달러에 매입했다. CYVN는 총 10억 8850억 달러를 투입, 리오 지분 7%를 인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CYVN은 리오의 지분 20.1%를 보유한 최대 주주가 됐다. 제일재경은 이번 추가 지분 인수로 인해 CYVN가 이사회 멤버 2명을 지명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됐다고 설명했다. CYVN이 리오의 최대주주에 올랐지만 의결권을 더 많이 가
중국 정부가 2379억 위안(43조2000억 위안)의 국채를 발행했다. 중국 정부가 앞서 밝힌 1조 위안(182조원) 국채 가운데 1차 분이다. 18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1조 위안 국채 가운데 1차로 2379억 위안의 국채를 발행, 해당 프로젝트에 투입했다. 재정부는 1차로 발행된 국채 2379억 위안 가운데 1075억 위안은 지난 여름 재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 지원에 사용된다. 또 1254억 위안은 동북 지역 지해 피해와 농지 복구에 투입된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이와 함께 기상관련 기반시설 건설에 50억 위안이 별도로 책정, 종합예방통제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다.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지난달 24일 상무위원회 6차 회의를 열고 국무원(재정부)이 제출한 '국채 추가 발행 및 2023년 중앙 예산 조정 계획안'을 승인한 바 있다. 국채 발행 규모는 1조 위안이며, 5000억 위안은 올 4분기에, 나머지 5000억 위안은 내년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날 발행된 2379억 위안은 올해 발행될 5000억 위안 중 일부다. 웨이 가오밍 재정부 농업농촌부 부국장은 "1차 2379억 위안 가운데 1254억 위안은 농지 복구 및 농경지 개선 사
중국 싸이웨이(賽微)전자가 초고주파칩 상업 양산을 시작했다고 18일 선전(深圳)거래소에 공시했다. 싸이웨이전자는 ‘실렉스베이징’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한 후 베이징 이좡(亦莊)에 공장을 건설했다. 이 공장은 이미 지난해 완공됐다. 실렉스는 스웨덴 반도체 기업으로, 싸이웨이전자가 지난 2021년 100% 지분을 인수했다. 실렉스는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공정에 특화된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다. 싸이웨이전자는 실렉스와 함께 자회사를 설립해 MEMS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했다. 공장은 8인치 웨이퍼 월간 1만장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 싸이웨이전자는 "MEMS 공정은 공법개발과 시험생산에 장시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공장완공과 대규모 양산까지는 시차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싸이웨이전자는 베이징공장이 생산한 초고주파칩이 공정 및 성능검증을 완료했으며, 지난 15일 고객사가 대량주문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초고주파칩은 1GHz(기가헤르츠) 이상의 주파수를 처리하는 반도체로, 미세공정기술을 통해 제작된다. 때문에 초고주파칩은 일반 반도체공정이 아닌 MEMS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초고주파칩은 통신 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기술에도 사용되며, 스마트폰 무선충전에 사용된다.
중국 자동차 산업이 앞으로 3~5년 사이 변혁기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천스화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부비서장은 최근 열린 상하이철강연맹 주최 한 포럼에 참석, 향후 3~5년 새 중국 자동차 산업은 조종기를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천 부비서장은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이 매우 빠르게 고도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中 전기차 판매 쏠림 현상 그는 신에너지차 판매 현황을 세부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우선 쏠림 현상에 대해 지적했다. 올 1월부터 11월까지 신에너지차 판매 상위 10개 기업의 판매량이 720만7000대라고 말했다. 이는 전체 신에너지차 판매량의 86.8%에 해당되는 것이다.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를 판매하는 기업은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는 10개 정도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천 부비서장은 "중국을 포함 전 세계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기업에 따라 상황이 다르다"면서 일부 기업의 경우 운영 압력에 직면해 있고, 업계의 미수금도 수개월 연속 20%를 초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그는 "많은 신에너지차 생산 기업이 판매와 이익 사이에서 어
중국 CIS(CMOS 이미지센서) 업체들이 CIS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중국 매체들이 전했다. 삼성전자가 CIS 가격을 인상하자, 중국 업체들도 CIS 가격을 인상하자, 중국 업체들도 인상 등 후속 조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중국 매체 차이롄서 등에 따르면 중국 CIS 업체들은 최근 CIS 재고 소진이 가속화되고 있고 가격도 바닥권 단계에 진입했다고 판단,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다. CIS는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제품의 눈 역할을 하는 비메모리반도체다.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온 시각 정보를 이미지센서가 디지털신호로 변환해 전자기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CIS 가격 인상 주도는 삼성전자가 주도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자사 고객들을 대상으로 내년 1분기 중 CIS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인상률은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30%선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 업체들도 내년 1분기중 10% 정도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 수요가 회복, 재고 소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삼성전자가 CIS 가격 인상 포문을 연 만큼 중국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회 위원을 역임한 인사가 미국 국채의 '질서 있는 축소'를 주장했다. 중국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부터 보유 중인 미국 국채를 지속적으로 줄이고 있어 향후 미 국채 보유액이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커졌다. 중국은 일본에 이어 미국 국채 세계 2위 보유국이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지난 16일부터 17일까지 하이난 싼야에서 '싼야 금융 국제 포럼'이 열렸다고 18일 전했다. 이 포럼에 참석한 위융딩 사회과학원 학부위원(명예교수)는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미 국채 비율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라며 "이는 시간이 갈수록 미국의 해외 순채무가 악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지적했다. 위 학부위원은 '달러 킬러'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달러 표시 자산 매각을 주장한 학자로 유명하다. 그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은 미국의 순 해외 부채 악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면서 미 국채의 낮은 표면이자율과 미국의 순해외부채 급증을 고려할 때, 중국은 미 국채 보유를 줄일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 해외자산에서 미 국채를 줄이는 것은 미국 국채를 파는 것이 아니라 질서 있게 줄이는 것이 핵심
중국 11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각각 10.1%와 6.6%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중국 경제가 정상궤도에 올랐다고 보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소비재 등 소매판매액 총액은 전년 동월 대비 10.1% 늘어난 4조2505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11월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두자릿 수 증가를 보인 것은 지난해 11월 소매판매가 마이너스(-)1.8%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은 중국의 '제로(0) 코로나' 정책 기조가 극에 달한 시기였다. 11월 소매판매액 가운데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판매액은 3조8191억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도시 소매판매가 3조653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0% 증가했고, 농촌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0.4% 늘어난 5975억 위안으로 나타났다. 소비 유형별로는 11월 상품 소매판매액이 3조6925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요식업 매출은 5580억 위안으로 25.8% 증가했다. 형태별로는 1월부터 11월까지 편의점, 전문점, 브랜드점, 백화점 등 지정 규모 이상의 소매업 매장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