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위 신에너지차 판매 업체인 비야디(BYD)가 가격 할인 정책을 중단했다. 테슬라 차이나는 최근 모델3(4륜구동) 가격을 1만 위안 인상했다. 중국 당국이 '내권식(内卷式, 제살깎아먹기식)'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중국 완성차 업계의 가격 할인 전쟁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8일 경제일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가 7월 '한정' 가격 정책을 중단했다. 한정이라는 단어를 사용, 특정 기간 가격을 할인해 주는 마케팅 정책을 멈춘 것이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지난 5월 31일 '공정한 경쟁 질서 유지 및 업계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행동 강령(이하 행동 강령)'을 발표하며 중국 완성차 업체간 가격 경쟁을 일갈했다.<본지 5월 31일자 '中 자동차공업협회, BYD 가격 할인에 경고' 참조> 협회에 앞서 웨이젠쥔 창청자동차 회장은 중국 자동차 산업에 '헝다그룹'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고 발언, 가격 할인 전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본지 5월 28일자, 창안차 회장, "둥펑과 합병은 중국 車산업에 좋은 사례" 참조> 급기야 중국 자동산 산업을 총괄하는 공업정보화부가 '2025년 자동차 생산 기업 및 제품 생산 일관성 검사
공급부족 현상으로 DDR4 메모리 가격이 지난 몇 달 동안 크게 상승해 DDR5의 가격을 추월하는 현상이 빚어지자, 중국내 일부 업체들이 DDR4 증산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중국 IT 전문매체 콰이커지(快科技)가 7일 전했다. 글로벌 D램 제조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은 올해 연말까지 DDR4 메모리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D램 업체인 창신춘추(長鑫存儲, CXMT)는 DDR4 생산 중단을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창신춘추 역시 DDR4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 창신춘추가 DDR4 생산을 중단한다는 소문이 나오면서 DDR4의 가격은 급등하기 시작했다. DDR4 32008Gb 현물 가격은 4월 말 1.75달러였다. 5월 말에는 2.71달러로 높아졌으며, 현재는 5달러를 넘어섰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DDR4 16GB(2Gx8)3200도 4월 말 3.57달러에서 현재 8.8달러까지 올랐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부 소규모 제조 업체들이 DDR4의 생산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난야커지(南亚科技)는 다양한 DDR4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직 LPDDR5를 대량으로 생산하지 않고 있다. 난야커지는 당초 올해
중국 신흥 전기자동차 생산 업체들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를 속속 선보이면서 중국 순수 전기 SUV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미국 테슬라 모델Y를 타깃으로 지목, 전기 SUV 시장 경쟁이 뜨거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7일 증권일보와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펑은 지난 3일 오후 신형 인공지능(AI) 스마트 패밀리 SUV '샤오펑 G7'을 출시했다. 허샤오펑 샤오펑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상반기 20만 위안(한화 약 3800만원) 이상 전기 SUV 시장이 매우 활발했다"라고 말했다. 602Max, 702Max, 702Ultra 3가지 트림으로 출시된 샤오펑 G7의 가격은 19만5800~22만5800위안이다. 당초 사전 판매 가격인 23만5800위안보다 4만 위안 싸게 출시됐다. 샤오펑 G7에는 자율주행 L3급이 탑재됐다. 특히 중국 최초로 시각언어모델 VLM(Vision Language Model)이 탑재, 운전자와 차량의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한다고 샤오펑 측은 강조했다. 샤오펑 G7의 최대 출력은 218kW이며, 완충 시 최대 702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소득이 증가하면 레저 문화가 성장하기 마련이다. 통상
1분기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284만대를 넘어섰다. 이와 관련 얼리어답터 시장이 포화상태에 도달했을 뿐 폴더블 폰 산업이 성장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일재경은 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 데이터를 인용, 1분기 중국 폴더블 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53.1% 증가한 284만대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폴더블 폰은 그간 스크린 힌지 문제와 무게, 배터리 수명 등 기술적 혁신이 점진적으로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 같은 기술적 문제 해결만으로 폴더블 폰이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폴더블 폰 출하량이 크게 늘었지만 시장 수요가 뚜렷히 개선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올해 폴더블 폰 시장이 여전히 조정과 관망세를 보일 것이라고 이 매체는 전망했다. 폴더블 폰은 단말기 제조업체의 하드웨어 기술력을 입증하는 중요 수단이다. 또 단말기 제조업체의 고급 시장 지위를 확고히 하는 핵심 요소다. 그만큼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 지난 2일 아너가 8.8mm 두께의 '매직 V5' 폴더블 폰을 출시했다. 이는 오포의 파인드 N5 폴더블 폰 두께 8.93mm 보다 얇다. 폴더블 폰의 가장 큰 약
주행거리 '0Km 중고자동차'가 수출되고 있다는 중국 내부 폭로가 나온 가운데 중국 당국이 중고차 수출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4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3일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중고차 수출 업무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고, 중고차 수출의 건강하고 질서 있는 발전을 촉진시키겠다고 발표했다. 허융첸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자동차는 가격이 비싼 소비재이며, 각국이 중고차 시장 발전을 장려하고 지원하고 있다"며 중국 역시 지난해 2월 중고차 수출 관련 절차를 마련해 공고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24년 2월 이후 중고차 품질 안전을 엄격히 관리했고, 중고차 수출 역시 해외 소비자의 차량 구매 선택을 충족시켰다고 부연했다. 중국 당국이 주행거리 0Km 중고차가 중국내 유통되는 것을 넘어 해외로 수출되고 있음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본지 6월 26일자 '中 차 산업의 불편한 진실... 주행거리 0Km 중고차도 수출' 참조> 주행거리 0Km 중고차 유통은 밀어내기식 영업의 산물이다. 그만큼 중국 완성차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다는 의미이자, 손해를 보더라도 일단 팔고보자는 식의 영업이 성행하고 있다는 뜻
중국이 내수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LPR)와 지급준비율(RRR)을 낮추는 등 완만한 통화정책을 쓰고 있는 가운데 기업 신용 대출 금리가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3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은행과 건설은행, 초상은행 등 여러 대형 은행들이 연 3%대의 기업 및 사업자 신용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LPR 인하 등으로 개인 대출 금리는 물론 기업 및 사업자 신용 대출 금리까지 인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일부 은행들은 별도 금리 할인 쿠폰을 발행, 기업 및 사업자 신용 대출금리가 2.6%대까지 하락했다. 중국 매체들은 LPR 및 RRR 인하로 인해 은행권이 대출 경쟁에 나서고 있으며, 일부에선 소비자 대출 고시 금리보다 더 낮게 대출 영업에 나서고 있는 부작용도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출 실적을 올리기 위해 암묵적으로 추가 금리 인하를 허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은행들은 특정 고객층을 겨냥한 마케팅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금리 규제 요건을 위반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은행 간 대출 경쟁이 시작되면서 기업 및 사업자 대출이 저수익 영역으로 진입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통상 기업 및 사업자 대출은 법인세 납부 실적과 개
중국의 최정상급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쯔광잔루이(紫光展锐, 영문명 UNISOC)가 올 하반기에 중국 상하이증시에 상장한다. 쯔광잔루이가 상하이 증권감독관리국에 기업공개(IPO) 지도 완료 등록을 했다고 중국 국제금융보(国际金融报)가 2일 전했다. 쯔광잔루이 상장 주관사는 궈타이하이퉁(国泰海通)증권과 중신젠서(中信建投) 증권이다. 중국에서는 상장을 원하는 기업은 상장 경험이 많은 업체로부터 상장 지도(자문)을 받는다. 이 과정은 6개월에서 1년이 소요된다. 자문이 완료되면 증권감독 기관에 신고를 하고, 증권감독 기관은 지도 완료를 확인한 후 홈페이지에 공지를 한다. 이후 업체는 증권감독 기관에 상장 신청서를 접수시키고, 심사과정을 거쳐 상장된다. 매체는 쯔광잔루이가 올 하반기에 상하이증시 커촹반(科创板) 상장을 완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쯔광잔루이는 2019년 상장을 준비했었지만, 모기업의 파산으로 상장이 무산됐다. 2022년 7월 모기업인 쯔광그룹은 즈광신(智广芯)홀딩스에 인수됐다. 이후 쯔광그룹은 그룹명은 신쯔광(新紫光)그룹으로 바뀌었다. 지난해 9월 쯔광잔루이는 40억 위안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지난해 12월에는 추가로 20억 위안을 추가 투자
중국이 재정 확대를 통해 내수 부양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중국 외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2025년 3월 말 기준 중국의 채무 잔액(위안화 및 외화 포함)은 1조7596억7000만 위안(한화 약 334조8000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1.3%(미화 316억 달러) 늘어난 것이다. 통화 구조별로는 위안화 대외 채무가 52%를 차지하며, 지난해 말 대비 2.0%포인트 증가했다. 또 외화 채무는 42%로 전년 말 대비 1.7%포인트 감소했다. 리빈 국가외환관리국 부국장는 채무 증가와 관련 "올 1분기 복잡한 변화를 보인 국제 정세와 국내 경제 운영의 지속적인 회복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채무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중국 외채 규모는 2023년 말 대비 277억 달러 감소한 바 있다. 중국 정부가 올해 경기 부양 차원에서 목표 재정적자율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따라서 올해 중국의 외채 등 채무 증가는 불가피하다. 문제는 만기 구조다. 외채 만기가 불일치할 경우 추가 국채 발행 등 재정적자 관리에 낭패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외환관리국은 만기 구조가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리 부국
중국의 대표적인 위성 기반 고정밀 위치정보 반도체 개발 업체인 멍신커지(梦芯科技)가 새로운 베이더우(北斗) 칩을 개발해 발표했다. 중국 베이더우 위성은 중국판 GPS로 불리는 중국이 자체 개발해서 운영중인 위성망이다. 지난달 30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베이더우 제품 성과 발표회'가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서 멍신커지가 새로운 GNSS(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 반도체를 발표했다고 신화사가 1일 전했다. 멍신커지는 베이더우 우선 주파수 고정밀 칩을 발표했다. 회사 측은 베이더우 칩 기술이 2.0시대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칩은 우선적으로 베이더우의 신호를 포착하며, 필요 시 다른 위성시스템 신호도 수신한다. 기존의 베이더우 칩은 위치 초기화 시간이 길고, 복잡한 환경 적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멍신커지는 이번에 개발한 GNSS 칩은 문제점들을 모두 개선시켰다고 강조했다. 신호 포착 속도는 20배 높아졌고, 시간 정확도는 5배 강화됐다. 반면 반도체의 크기는 절반으로 줄었고, 소비전력은 40% 절감됐다. 멍신커지는 "중국의 시공간 정보 보안의 열쇠가 중국 손에 쥐어지게 됐다"며 "베이더우 2.0 기술이 국가 안보 전략상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업계
중국이 자체 개발한 여객기인 C909가 해외 운항을 시작했다. C909는 중국이 개발한 첫 민간 항공기다. C909는 해외 노선에 투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에어차이나 소속 C909 여객기(CA757편)가 이날 오전 8시 7분 네이멍구 하오터바이타국제공항에서 이륙, 몽골 울란바토르 국제공항으로 향했다. 에어차이나는 주 7회 운항하며 이 노선에 C909 항공기를 투입한다. 이날 CA757편 운항과 관련 중국 매체들은 중국이 직접 만든 항공기가 국제 상업 노선에 투입되는 첫 사례이자 중국 항공산업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에어차이나는 지난 2021년 C909를 도입, 국내선에 투입해 왔다. 에어차이나는 현재 C909 항공기 35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에어차이나 소속 C909의 누적 비행시간은 11만 시간 이상이며, 누적 승객 수는 413만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C909는 중국 중국상용항공기(COMAC,코맥)이 개발한 소형급(78~97석) 항공기다. 2002년 개발을 시작, 2008년 첫 비행에 성공했다. C909 항공기는 지난 2016년 6월 첫 상업비행을 시작했다. 당초 모델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