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5월 누적 1274만대를 넘어섰다. 12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간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9% 늘어난 1274만8000대로 집계됐다. 생산도 늘었다. 5월까지 중국에서 생산된 자동차는 모두 1282만6000대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올해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친환경차)의 생산과 판매는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5월까지 신에너지차 생산과 판매는 각각 569만9000대와 560만8000대로 전년 대비 각각 45.2%와 44% 급증했다. 유럽연합 등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된 관세에도 불구, 중국산 자동차 수출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5월까지 중국산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249만대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신에너지차의 수출은 전년 대비 64.6% 급증한 85만5000대였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측은 이와 관련, 중국 경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운데 국내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해외 수요도 다각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중국 자동차 판매 증가와 관련, 중국 당국의 보조금 정책과 함께 중국 완성차 업체 간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
반등했던 중국 굴삭기 판매량이 5월 감소했다. 하지만 5월 누적으로는 전년 대비 17.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굴삭기 등 기계는 중국 건설산업을 엿볼 수 있는 가늠자다.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은 중국건설기계공업협회 데이터를 인용, 5월 굴삭기 제조업체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2.12% 증가한 1만8202대라고 12일 전했다. 전체 판매량은 소폭 증가했지만 중국 내수 판매는 감소했다. 5월 중국 내수 판매량은 전년 대비 1.48% 감소한 8392대였다. 내수 판매가 감소한 것은 4개월 만이다. 전체 판매량이 증가한 것은 수출 덕분이다. 5월 굴삭기 수출은 전년 대비 5.42% 늘어난 9810대로 나타났다. 5월 굴삭기 판매 감소와 관련 샹차이증권은 판매량이 예상보다 저조했다면서 연초 높은 판매 증가세를 보인 것도 있고, 건설기계 가동률이 떨어진 것도 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내수 경기 부양에 정부가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굴삭기 판매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5월 건설기계 가동 시간과 가동률이 전년 대비 모두 감소했다. 5월 주요 건설기계 월 평균 가동 시간은 84.5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6% 감소했고, 월 가동률
중국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자동 설계 시스템을 공개했다. 중국과학원 산하 컴퓨팅기술연구소와 소프트웨어연구소는 공동으로 '치멍(启蒙)' 시스템을 발표했다고 중국 반도체산업망이 11일 전했다. 치멍 시스템은 반도체 하드웨어부터 기본 소프트웨어까지 AI를 이용해 전과정을 자동화 설계할 수 있다. 이는 AI가 반도체를 설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치멍 시스템의 설계는 여러 주요 지표에서 전문가의 설계 수준에 도달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AI 논문 웹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서 발표됐다. 치멍 시스템을 활용해 설계된 CPU(중앙처리장치)는 현재 설계를 마치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에 테이프아웃된 상태다. 파운드리 업체와의 추가적인 협의를 마친 후 직접 생산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당 칩은 '치멍 1호'로 명명됐다. 치멍 1호는 치멍시스템이 5시간 만에 전체 프론트엔드 설계를 완료했다. 32비트 RISC-V(리스크파이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성능은 인텔의 486 CPU 수준이며, 400만개 이상의 로직게이트를 보유하고 있다. 또 두번째 설계 반도체인 치멍 2호는 ARM 코어텍스 A53 수준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
중국 당국이 자동차 생산과 품질에 대해 조사에 나선다. 당초 당국에 신고하고 승인된 기술과 부품 등을 사용했는지 등을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과도한 가격 할인으로 중국 자동차 산업에 불란이 일어난 상황에서 당국이 관리 감독에 나섰다는 점에서 추후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살생부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공포까지 나오고 있다. 중국공업정보화부는 지난 9일 '2025년 자동차 생산 기업 및 제품 생산 일관성 검사 업무에 관한 통지'를 발표했다. 공업정보화부는 통지문을 통해 자동차 생산업체에 대한 감독 검사를 실시한다면서 자동차 제품 품질 및 안전 등을 집중 검사한다고 밝혔다. 공업정보화는 샘플링 검사를 통해 국가 표준 적합성 검사 및 시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고지했다. 전기차 안전 요구 사항, 배터리 팩 및 시스템 안전 요구 사항, 브레이크 시스템 등 안전과 관련된 부분을 집중 검사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가 표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위반 사항이 있는 기업에 생산 중단 및 신차 출시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통지 관련 중국 매체들은 자동차 안전문제와 함께 자동차 회사의 과도한 홍보 등의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공업정보화부가 나선 것으
중국 화웨이(华为)가 개발한 최신 CPU 실물이 공개돼 중국 현지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 6일 폴더블 노트북인 메이트북폴드(MateBook Fold)를 정식 판매했다. 중국 IT매체 콰이커지(快科技)는 중국의 한 IT 전문 블로거가 이 노트북을 해체해 CPU 실물 사진을 공개했다고 10일 전했다. 노트북의 CPU(중앙처리장치)에는 Hi9600이라는 코드명이 적어져 있다. 'Hi'는 화웨이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자회사인 하이실리콘(하이쓰, 海思)를 뜻한다. 9600은 코드명이다. 매체는 Hi9600은 화웨이가 개발한 반도체 시리즈 중 하나인 기린 X90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기린 X90은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외주 제작) 업체인 SMIC(중신궈지, 中芯国际)가 5나노(nm) 공법으로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CPU에는 '2035CN'이라는 문구가 적어져 있다. 이 문구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화웨이의 반도체마다 적어져 있다. 매체는 기린 9020, 기린 9000S, 기린9010에도 '2035CN'이라는 문구가 적어져 있었다고 설명했다. 화웨이는 '2035CN'의 의미에 대해 발표한 바 없다. 다만 업계에서는 2020년 35번
중국 지방정부가 지방채권 발행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적지 않은 금액이 부동산 등에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부양 차원에서 발행되는 특수지방채 1000억 위안 이상이 부동산 등에 투입되고 있다. 내수 활성화를 위해 적지 않은 금액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21세기경제망이 중국 각 성(省) 공공채권 발행 데이터를 인용, 올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간 발행된 지방채권 발행액은 4조3000억 위안(한화 814조원)이라고 10일 전했다. 이 기간 신규 발행된 지방특수채권은 1조 6300억 위안으로 연간 발행 한도의 37%를 차지했다. 일반채권 발행은 3510억 위안으로 연간 발행 한도의 44%다. 이에 따라 신규 지방특수채 발행 속도가 하반기 가속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신규 지방특수채가 증가했다고 21세기경제망은 진단했다. 1월부터 5월까지 베이징과 광둥성, 쓰촨성, 후난성, 푸젠성, 저장성 등에서 부동산 관련 지방 특수채 발행 규모는 모두 1083억 위안(한화 약 20조 5000억원)이다. 장웨이 자오상증권 채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발행된 지방 특수채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화웨이 칩에 대해 "미국보다 한 세대 뒤쳐져 있다"라고 밝혔다. 런 CEO는 10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와 인터뷰에서 화웨이 인공지능(AI) 칩 어센드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다. 런 CEO는 외부의 봉쇄와 억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인민일보의 질문에 "생각해 본 적 없고 생각해 봐야 소용없다"면서 "우리는 그냥 하고 있고,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미국의 반도체 규제에 대해 런 CEO는 "미국은 화웨이 성과를 과장하고 있다"면서 "화웨이는 아직 그렇게 훌륭하지 않고, 그들(미국)의 평가에 부응하려면 앞으로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려움이 없었던 적이 언제 있었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우리는 (부족한) 물리학을 수학으로, 무어의 법칙을 비무어의 법칙으로, 거대 연산 기술로 단일 칩의 기술을 보완하고 있다"며 그 결과로 실용적인 조건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중저가 칩 분야에서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화합물 반도체에서 기회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굳이 어려움을 밝히자면 교육과 훈련 등 인재 육성에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 상하이교통대 우시(无锡) 광자칩연구원이 광자칩 양산을 시작했다고 중국 펑파이(澎湃)신문이 9일 전했다. 우시광자칩연구원은 연구원 내에 구축한 파일럿 생산시설에서 지난 5일 첫 번째 6인치 니오브산 광자칩 웨이퍼를 성공적으로 출하했다. 또 초저손실, 초고대역폭의 고성능 니오브산 모듈레이터 칩도 양산을 시작했다. 연구원 측은 "이번 양산으로 연구원은 기술 연구개발, 공정 검증에 거쳐 대규모 양산 능력까지 갖추게 됐다"며 "중국의 자주적이고 통제가능한 양자 기술의 국제 경쟁력이 더욱 향상됐다"고 자평했다. 광자칩은 빛(광자)을 활용해 데이터를 처리, 전송, 변조, 증폭하는 칩을 뜻한다. 초고속 광통신, 데이터센터, 감지센서 등에 사용된다. 우시광자칩연구원은 광자칩 양산을 위해 지난 2022년 말에 연구원 내 파일럿 생산시설 건설작업을 시작했다. 2023년 생산시설 건물이 완공했고, 2024년 1월부터 장비가 반입되기 시작했다. 지난해 9월부터 파일럿 생산시설이 정식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약 10개월여의 테스트 과정 끝에 완성품이 양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파일럿 생산시설은 연간 1만2000장의 박막 니오브산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다. 향후 더욱 많은 장비업체들
중국이 반송했던 미국 보잉 737 맥스(MAX)를 다시 받는다. 미중 관세 전쟁 여파로 중국이 자국 항공사에 내렸던 보잉 항공기 인수를 금지 조치를 해제한 결과다. 중국 당국이 돌려보냈던 보잉 항공기를 재납품 받은 것으로 복잡한 이해관계에 따른 것이다. 9일 제일재경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이 지난 4월 미국으로 돌려보냈던 보잉 737 맥스 항공기가 재납품되기 위해 지난 7일 미국 시애틀 보잉 본사를 출발했다. 이 항공기는 중국 저우산 보잉 인도 센터에 도착한 후 중국 항공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중국은 지난 4월 인도받기로 한 보잉 737 맥스 3대를 미국으로 돌려보낸 바 있다. 관세 문제로 미국과 첨예한 대립하면서 나온 항공기 반송 조치였다. 제일재경은 90일이라는 관세 유예기간을 두면서 관세문제가 해결, 보잉 737 맥스를 다시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일재경은 샤먼항공이 보잉 737 맥스 항공기 외 2대의 항공기를 다시 인도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샹항공도 보잉 787 항공기도 이달 다시 인도될 예정이며, 중국항공화물도 보잉 화물기를 인도 받는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중국 매체들은 관세 유예 등을 미국 보잉 항공기 재인도의 원인으로
자동차 가격 전쟁을 촉발시켰다는 눈총을 사고 있는 왕촨푸 비야디(BYD) 왕촨푸 회장이 입을 열었다. 9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비야디는 지난 6일 선전 본사에서 2024년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미래 발전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주총에는 왕 회장이 직접 나와 비야디의 지능형 자동차 개발 현황과 해외 진출 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 왕 회장은 특히 중국 자동차 산업의 '내권식(内卷式, 제살깎아먹기식)'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왕 회장은 "저는 단 하나의 회사, 비야디만 가지고 있다"면서 "비야디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단기적인 압박이 있지만 비야디는 장기적인 안목을 고수하며, 경쟁사를 깎아내리지 않을 것이고, 이는 비야디의 원칙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중국 자동차 산업 내 '헝다그룹'이 존재한다는 경쟁업체들의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된다. 한때 중국 부동산 1위 그룹인 헝다는 문어발식 경영 등으로 인해 파산한 그룹이다. 자동차 업계 헝다는 비야디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되는 만큼 왕 회장이 우회적으로 이 같은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 리첸 비야디 이사회 사무총장은 "비야디는 누구와도 가격 전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