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최초의 8인치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미세전자기계시스템) 공장이 양산을 시작했다고 중국 반도체 전문지인 진르반다오티(今日半导体)가 27일 전했다. 중국 반도체 업체인 화신웨이나(华鑫微纳)는 전날 오후 "8인치 MEMS 생산라인이 제품을 출하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중국 최초의 8인치 MEMS 전자동 생산라인이 정식으로 양산을 시작했음을 의미한다"고 발표했다. 이 공장은 안후이(安徽)성 벙부(蚌埠)에 위치해 있다. 화신웨이나는 또 "벙부 공장은 시스템 설비, 품질 등이 비교적 완벽한 수준에 도달했다"며 "월 3만장의 웨이퍼를 생산할 예정이며, 이는 중국내 최대 규모의 MEMS 생산라인"이라고 강조했다. 화신웨이나의 벙부공장은 관성 센서, 압력 센서, 광 MEMS 소자 등을 생산하게 된다. 이들 제품은 고급 장비, 자동차 전자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쑹아이궈(宋爱国) 둥난(东南)대학 교수는 "8인치 MEMS 웨이퍼 공장은 대량의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며 "이 공장에서 생산한 압력 센서는 가장 기초적인 소재이며, 이 제품으로 인해 많은 분야의 혁신이 이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센서산업협회는 "중국의 센서
국제 신용평가기관이 무디스가 중국 국가 신용 등급을 기존 'A1'으로 유지키로 한 가운데 중국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총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1월부터 4월까지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총이익은 2조1170억2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이 기간 민간기업의 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 늘어난 5706억8000만 위안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 투자기업(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은 2.5% 증가한 5429억2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민간 및 외국인투자 기업의 총이익은 늘었지만 중국 국유기업의 총이익은 감소했다. 이 기간 중국 국유기업의 총이익은 7022억8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이 기간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총자산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181조3500억 위안이며 총부채는 5.7% 늘어난 104조6200억 위안으로 나타났다. 우웨이닝 중국국가통계국 통계사는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통한 재정정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특히 대규모 설비 교체 등으로 인해 특수 설비 및 일반 설비 산업의 이익이 두자릿수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가전제품 등 소비재 판매가 증가
올해 1분기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750만대를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21세기경제망은 중국자동차공업협회의 통계를 인용, 올 1분기 중국 자동차 판매 대수는 747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고 27일 전했다. 중국 업체 가운데 단연 1위는 비야디(BYD)다. 비야디는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무려 59.8% 급증한 100만8000대를 판매했다. 중국에서 판매된 자동차 7대 가운데 1대가 비야디 차량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판매가 늘면서 순익도 증가했다. 비야디 1분기 대당 순이익은 8733위안(한화 약 167만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비야디의 대당 순익은 7000위안이었다. 지리자동차도 친환경차 판매가 증가하면서 수익구조가 크게 개선됐다. 올 1분기 지라차의 친환경차 판매는 33만9000대로 전년동기 대비 135%나 급증했다. 지리차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무려 264%나 급증한 56억7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지리차의 빠른 성장은 지리차그룹의 빠른 통합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기술 플랫폼 공유 등 비용절감 효과와 판매량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중국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반면 장성자동차는 뒷걸음질치는 모양새다. 1분기 자성차의
중국의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중커수광(中科曙光)이 GPU(그래픽처리장치) 개발 팹리스인 하이광신시(海光信息, HYGON)를 인수한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26일 전했다. 중커수광과 하이광신시는 지난 25일 저녁 거래소 공시를 통해 인수합병 계획을 발표했다. 양사는 이번 인수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통합하고, GPU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사는 '흡수합병 의향 협약서'를 체결했다. 양사의 인수합병 안은 각각의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친후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는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양사는 26일부터 주식시장 거래가 정지됐으며, 거래중단 기간은 10거래일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커수광은 지난해 1314억 위안의 매출액과 19억 위안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하이광신시는 지난해 91억 위안의 매출액과 19억 위안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5월 23일 기준으로 중커수광의 시가총액은 905억 위안이며, 하이광신시의 시가총액은 3164억 위안이다. 양사의 합병으로 시가총액 4000억위안(한화 약 76조원)의 거대한 반도체 기업이 탄생하게 된다. 현재 중커수광은 하이광신시의 지분 27.9%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양사는 주식 교환 방식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퇴출된 것으로 알려진 가오허자동차(Hiphi·화런원퉁)가 부활한다. 가오허차는 지난해 2월 생산 잠정 중단을 밝힌 이후 인수 기업을 찾아왔지만 이렇다할 인수자를 찾지 못해 사실상 퇴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가오허차의 생산 중단은 중국 친환경자동차 시장 재편의 신호탄으로 해석됐다는 점에서 가오허차의 생산 재개 여부에 중국 자동차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본지 24년2월19일자 '中 가오허차 생산 중단···전기차시장 재편'> 26일 중국 매체 차이롄서 등에 따르면 파산 절차를 밟고 있던 가오허차에 캐나다 전기차 회사인 EV 일렉트라(Electra)가 가오허차의 구조조정에 참여하기 위해 10억 달러를 투자한다. 차이롄서는 지난 22일 장쑤성 옌청시에 '장쑤 하이파이(Hiphi) 자동차'가 설립됐다고 전했다. 이 회사의 지분 30.2%는 가오허차의 모회사인 하이파이 장쑤 테크놀로지이며, EV 일렉트라가 69.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오허차의 모회사인 화런원퉁의 설립자인 딩 레이의 이름이 주요 관리자 목록에 없다고 차이롄서는 전했다. 대신 EV 일렉트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지하드 모하매드가 주요 관리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디지털 제품 판매에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은 상무부 통계를 인용, 22일 기준 4884만8000명의 소비자가 모두 5148만3000대의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을 구매했다고 전했다.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으로 판매 금액은 1432억6000만 위안(한화 약 27조3225억원)에 달한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월 15일부터 내수 경기 부양 차원에서 스마트폰 구입시 보조금을 최대 500위안까지 지급하고 있다. 가전제품에 대해 최대 2000위안의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내수에 활력을 넣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은 강조했다. 특히 스마트폰에 대한 보조금 정책으로 올해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이 역대 최다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또 보조금 정책으로 스마트폰 주요 소비 구조가 상향됐다. 실제 2000~4000위안과 4000~6000위안 사이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각각 13%와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정책에 따라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세대는 주로 20~40대로 집계됐다
중국 친환경자동차 1위 업체인 비야디(BYD)의 유럽 전기차 판매량이 테슬라를 앞질렀다. 월간 기준이긴 하지만 비야디가 유럽에서 테슬라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23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은 시장조사업체 자토 다이내믹스를 인용, 비야디가 4월 한달간 7231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고 전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69%나 급증한 것이다. 같은 기간 테슬라의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9% 감고한 7165대에 그쳤다.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은 테슬라 판매 감소에 대해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태가 유럽 소비자들의 반감을 산 반면 중국 브랜드에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비야디와 테슬라의 지위가 역전됐다고 해석했다. 펠리페 뮤노스 자토 다이내믹스 애널리스트는 "두 브랜드간 월 판매량 차이는 크지 않지만 그 영향은 크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테슬라가 수년간 유럽 순수 전기차 시장을 선도해 왔다는 점에서 두 브랜드의 판매 역전 현상은 유럽 자동차 시장에 있어 분수령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전기차 외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판매량을 감안하면 중국 브랜드의 유럽 시장 확장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올 1분기 유럽에서 중국사 플러그인 하
중국의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인 웨이얼구펀(윌세미)가 사명을 '하오웨이반도체'로 변경한다. 웨이얼구펀은 20일 저녁 공시를 통해 사명을 하오웨이로 변경할 계획이며, 증시 상장 약칭을 웨이얼구펀에서 하오웨이지퇀(豪威集团)로 바꿀 계획이라고 발표했다고 중국반도체산업망이 21일 전했다. 사명 변경안은 이사회를 통과했으며, 향후 주주총회를 통해 확정된다. 사명 변경에 대해 웨이얼구펀은 "회사 주요 제품의 브랜드 영향력과 제품 유형 비율에 따라 사명을 하오웨이로 변경하기로 했다"며 "하오웨이 브랜드의 강점을 더욱 발휘시켜 시장 영향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웨이얼구펀은 반도체 엔지니어 출신인 위런룽(虞仁榮) 회장이 지난 2007년 설립한 팹리스다. 웨이얼구펀은 시장에서 그다지 두각을 보이지 못하다가 2019년 미국의 이미지센서 기업인 옴니비전(OmniVision)을 인수하며 사세가 확장되기 시작했다. 옴니비전의 중국어 명칭이 하오웨이다. 중국에서는 웨이얼구펀의 자회사로 편입된 옴니비전을 하오웨이로 인식하고 있다. 옴니비전은 199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설립된 이미지센서 업체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미국과 중국간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발표 난 이후 중국~미국 컨테이너노선 해상운임이 연일 치솟고 있다. 양국 관세전쟁 최종 결과를 예상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선주문이 쇄도하면서 해상운임이 수직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1일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상하이해운지수(SCFI) 컨테이너 운임지수는 1479.39포인트로 전주 대비 10.0% 상승했다. 특히 중국~미국 운임이 크게 올랐다. 16일 기준 상하이에서 미국 서부까지 해상운임은 1FEU(40피트 컨테이너) 당 전주 대비 무려 31.7% 급등한 3091달러를 기록했다. 동부까지 해상운임은 전주 대비 22% 오른 4069달러를 기록했다. 가격으로는 서부는 744달러, 동부는 734달러 오른 셈이다. 제일재경은 5월 말까지만 해도 1FEU당 3100달러였던 가격이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수직 상승하고 있다고 전했다. 추가 웃돈이 필요할 정도로 선복 구하기가 쉽지 않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FEU 당 3091달러는 평균 가격이다. 대형 포워딩 업체가 아닌 경우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운임이 들어간다는 게 해운업계의 설명이다. 20~30%의 추가 비용이 들어간다는 게 정설이다. 따
중국의 반도체업체 원타이커지가 ODM(원천개발제조) 사업을 매각하고 반도체 사업에 집중한다. 원타이커지는 ODM 사업부와 ODM 사업 자회사들을 리쉰징미(立讯精密)에 매각했다고 중국 매체 진룽제(金融界)가 20일 전했다. 매각대금은 43억8900만 위안(한화 8466억원)이다. 원타이커지는 삼성전자와 애플 등을 고객사로 두고 ODM 사업을 펼쳐온 업체다. 삼성전자의 태블릿PC를 제조한 것으로 유명하다. ODM 사업부를 인수한 업체는 중국 리쉰징미다. 리쉰징미는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ODM하는 업체다. 원타이커지는 ODM에서 대부분의 매출을 창출해 왔다. 2023년 원타이커지의 ODM 매출액은 443억 위안으로 전체 매출액의 72.3%를 차지했다. 2024년의 ODM 매출액은 584억 위안으로 전체 매출액의 79.3%를 차지했다. 원타이커지의 ODM 사업 분리 계획은 지난해 연말부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에 이미 리쉰징미와 매각 의향 협약을 체결했으며, 9개 자회사의 지분을 양도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원타이커지는 최근 몇 년 동안 ODM 사업의 매출액이 감소해 왔다.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수익성이 악화됐다. 2022년부터 원타이커지의 ODM 사업은